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과 강하게 연관된 질환이다. HPV는 피부 및 점막을 감염시키는 DNA 바이러스로, 특히 자궁경부암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1-3]. 전 세계적으로 250여 종 이상의 HPV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이 중 40여 종이 생식기 부위와 관련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감염의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군(low-risk group)과 고위험군(high-risk group)으로 분류된다. 저위험군 HPV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사마귀나 양성 병변을 유발하며, 암과의 관련성은 낮다. 대표적인 유전자형은 HPV-6과 HPV-11이 있으며 생식기 사마귀를 주로 유발한다. 고위험군 HPV 유전자는 자궁경부암, 항문암, 구강암, 인후암 등과 같은 다양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HPV-16, HPV-18, HPV-31, HPV-33, HPV-45, HPV-52, HPV-58이 주요 유전자형이며, HPV-26, HPV-35, HPV-39, HPV-51, HPV-53, HPV-56, HPV-59, HPV-66, HPV-68, HPV-69, HPV-73, HPV-82 등이 포함된다. 특히, HPV-16과 HPV-18은 자궁경부암의 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7].
HPV 유전자형 검사는 HPV 유형의 발암 가능성을 연구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자궁경부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속적인 감염을 선별하고 추적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8, 9]. 또한, 역학연구에서는 HPV 검사가 주로 연구 대상에서 분포된 HPV 유형의 유병률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현재 HPV 검출 및 유전자형을 판별하기 위해 250개 이상의 유전자가 사용되고 있다[10-12]. HPV 감염의 90%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12∼24개월 이내에 사라지거나 비활성화되지만, 각 유전자형에 따라 고위험군 HPV의 지속성이 자궁경부암으로의 진행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13-16].
치료나 자연 회복과정을 통해 HPV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제거되거나 비활성화되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음성 전환율과 음성 전환 기간은 감염된 HPV 유전자 유형, 나이, 대중 유전자 유형의 감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HPV-16과 HPV-18 같은 고위험 유형은 더 오랜 기간 동안 체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치료 후 또는 음성 전환 후 동일한 HPV 유형의 유전자가 재발되는 경우와 새로운 HPV 유형의 유전자에 감염되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치료 후 HPV 재발률은 10% 내외로 보고되며, 특히 HPV-16, HPV-18 감염자의 재발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13, 14]. 하지만,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형에 대한 고위험 HPV의 지속성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고위험군 HPV 자궁경부 감염에서 고위험군 HPV 유전자 유형별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을 분석하여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녹십자의료재단에 의뢰된 환자 중 조건에 부합하는 12,854명 환자의 고위험군 HPV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은 HPV-16, HPV-18, HPV-26, HPV-31, HPV-33, HPV-35, HPV-39, HPV-45, HPV-51, HPV-52, HPV-53, HPV-56, HPV-58, HPV-59, HPV-66, HPV-68, HPV-69, HPV-73, HPV-82로 총 19종이며, 초기 검사 결과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 중 최소 하나 이상에 대해 양성이며, 최소 30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3회 이상의 고위험군 HPV 검사를 시행한 결과만 포함하였다. 초기 감염 양성에서 첫 번째 음성으로의 변화와 이후 다시 첫 번째 양성 전환인 경우만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후의 양성에서 음성으로의 모든 변화는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자궁경부 액상세포검사 검체와 자궁경부 swab 검체로부터 19종의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을 검사하였다. 검사 장비는 AnyplexTM II HPV28 (Seegene)을 이용하였으며, TOCETM 기술을 이용한 End point-CMTA (End point-Catcher Melting Temperature Analysis) 방법 또는 cyclic-CMTA (cyclic-Catcher Melting Temperature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17]. 음성 전환율의 차이검정에서는 SAS software, version 9.4 (SAS Institute)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여 P-value를 산출했다. 음성 전환기간의 차이 검정에서는 두 집단인 경우 윌콕슨 순위 합 검정(Wilcoxon Rank Sums Test), 세 집단 이상인 경우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을 이용하여 P-value를 산출하였다. Genotype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R software version 4.2.2 (R Project for Statistical Computing) 프로그램의 networkD3 패키지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12,854명의 환자 중 연령분포는 10∼19세는 106명(0.8%), 20∼29세는 3,299명(25.7%), 30∼39세는 3,006명(23.4%), 40∼49세는 2,732명(21.3%), 50∼59세는 2,401명(18.7%), 60∼69세는 1,073명(8.3%), 70세 이상은 237명(1.8%)으로 조사되었다. 초기 검사 결과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 수에 따른 감염유형은 단일 감염의 경우 8,127명(63.2%), 이중 감염은 2,981명(23.2%), 3종 이상에서 양성을 보인 다중 감염은 1,746명(13.6%)으로 나타났다. 초기 검사 결과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은 HPV-52 2,517명(19.6%), HPV-53 2,378명(18.5%), HPV-58 1,893명(14.7%), HPV-68 1,669명(13.0%), HPV-16 1,657명(12.9%), HPV-51 1,530명(11.9%), HPV-56 1,477명(11.5%), HPV-39 1,438명(11.2%), HPV-66 1,160명(9.0%), HPV-59 780명(6.1%), HPV-35 717명(5.6%), HPV-18 697명(5.4%), HPV-31 666명(5.2%), HPV-82 477명(3.7%), HPV-33 464명(3.6%), HPV-45 381명(3.0%), HPV-73 165명(1.3%), HPV-69 129명(1.0%), HPV-26 83명(0.7%)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Positive rate by high-risk HPV genotype based on initial infection
Total | Single infection | Dual infection | Multiple infection | |
---|---|---|---|---|
Major genotype | ||||
HPV-16 | 1,657 (12.9) | 750 (9.2) | 470 (15.8) | 437 (25.0) |
HPV-18 | 697 (5.4) | 259 (3.2) | 205 (6.9) | 233 (13.3) |
HPV-31 | 666 (5.2) | 255 (3.1) | 179 (6.0) | 232 (13.3) |
HPV-33 | 464 (3.6) | 191 (2.4) | 130 (4.4) | 143 (8.2) |
HPV-45 | 381 (3.0) | 154 (1.9) | 101 (3.4) | 126 (7.2) |
HPV-52 | 2,517 (19.6) | 1,128 (13.9) | 776 (26.0) | 613 (35.1) |
HPV-58 | 1,893 (14.7) | 795 (9.8) | 567 (19.0) | 531 (30.4) |
Minor genotype | ||||
HPV-26 | 83 (0.7) | 22 (0.3) | 21 (0.7) | 40 (2.3) |
HPV-35 | 717 (5.6) | 233 (2.9) | 222 (7.5) | 262 (15.0) |
HPV-39 | 1,438 (11.2) | 510 (6.3) | 442 (14.8) | 486 (7.8) |
HPV-51 | 1,530 (11.9) | 557 (6.9) | 453 (15.2) | 520 (29.8) |
HPV-53 | 2,378 (18.5) | 1,014 (12.5) | 704 (23.6) | 660 (37.8) |
HPV-56 | 1,477 (11.5) | 546 (6.7) | 459 (15.4) | 472 (27.0) |
HPV-59 | 780 (6.1) | 262 (3.2) | 230 (7.7) | 288 (16.5) |
HPV-66 | 1,160 (9.0) | 457 (5.6) | 325 (10.9) | 378 (21.7) |
HPV-68 | 1,669 (13.0) | 775 (9.5) | 476 (16.0) | 418 (23.9) |
HPV-69 | 129 (1.0) | 41 (0.5) | 39 (1.3) | 49 (2.8) |
HPV-73 | 165 (1.3) | 40 (0.5) | 45 (1.5) | 80 (4.6) |
HPV-82 | 477 (3.7) | 138 (1.7) | 118 (4.0) | 221 (12.7) |
n (%).
Abbreviation: HPV, human papillomavirus.
전체 12,854명의 환자 중 6,811명(53.0%)이 음성으로 전환되었으며, 평균 전환 기간은 5년간 추적한 결과 436.5일이었다. 감염된 유전자형의 수에 따른 음성 전환율과 기간은 단일 감염의 경우 4,965명(61.1%, 421.3일), 이중 감염의 경우 1,318명(44.2%, 462.9일), 다중 감염의 경우 528명(30.2%, 513.5일)으로 각각 나타났다(Figure 1). 감염된 유전자형 수가 증가할수록 음성 전환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전환 기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연령별 음성 전환율은 10대 44명(41.5%), 20대 1,674명(50.7%), 30대 1,666명(55.4%), 40대 1,698명(62.2%), 50대 1,242명(51.7%), 60대 407명(37.9%), 70대 이상 80명(33.8%)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70대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음성 전환까지의 평균 기간은 10대 536.7일, 20대 457.7일, 30대 440.9일, 40대 435.1일, 50대 419.2일, 60대 404.1일, 70대 이상 310.6일로 나타났으며, 10대에서 가장 길었으며, 70대 이상에서 가장 짧았다. 초기 감염 양성에서 음성으로 전환된 기간은 1년 이내에 음성으로 전환된 경우는 3,434명(26.7%), 2년 이내의 경우 2,271명(17.7%), 3년 이내의 경우 800명(6.2%), 4년 이내의 경우 246명(1.9%), 5년 이내의 경우는 60명(0.5%)이 음성으로 전환되었다(Table 2).
Rates and time of negative conversion of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according to multiple infection and ages
Number of patients | Negative conversion | |||
---|---|---|---|---|
Number | Rate (%) | Time (d) | ||
Single infection | 8,127 | 4,965 | 61.1 | 421.3 |
Dual infection | 2,981 | 1,318 | 44.2 | 462.9 |
Multiple infection | 1,746 | 528 | 30.2 | 513.5 |
10∼19 | 106 | 44 | 41.5 | 536.7 |
20∼29 | 3,299 | 1,674 | 50.7 | 457.7 |
30∼39 | 3,006 | 1,666 | 55.4 | 440.9 |
40∼49 | 2,732 | 1,698 | 62.2 | 435.1 |
50∼59 | 2,401 | 1,242 | 51.7 | 419.2 |
60∼69 | 1,073 | 407 | 37.9 | 404.0 |
>70 | 237 | 80 | 33.8 | 310.6 |
전체 12,854명의 환자 중 1,369명(10.7%)이 재발되었으며, 재발까지의 평균 기간은 347.9일이었다. 감염된 유전자형 수에 따른 재발률과 재발까지의 기간은 단일 감염의 경우 968명(11.9%, 365.5일), 이중 감염의 경우 290명(9.7%, 313.9일), 다중 감염의 경우 111명(6.4%, 283.6일)으로 나타났다(Figure 1). 감염된 유전자형 수가 증가할수록 재발률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재발까지의 기간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연령별 재발률은 10대 12명(11.3%), 20대 336명(10.2%), 30대 282명(9.4%), 40대 354명(13.0%), 50대 271명(11.3%), 60대 100명(9.3%), 70대 이상 14명(5.9%)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70대에서 가장 낮았다. 재발까지의 평균 기간은 10대 275.8일, 20대 340.3일, 30대 329.0일, 40대 372.1일, 50대 368.5일, 60대 295.2일, 70대 이상 341.7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가장 길었으며, 10대에서 가장 짧았다. 음성 전환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1년 이내에 재발한 경우는 864명(6.7%), 2년 이내의 경우 397명(3.1%), 3년 이내의 경우 89명(0.7%), 4년 이내의 경우 16명(0.1%), 5년 이내의 경우는 3명(0.02%)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Rates and time of relapse of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according to multiple infection and ages
Number of patients | Relapse | |||
---|---|---|---|---|
Number | Rate (%) | Time (d) | ||
Single infection | 8,127 | 968 | 11.9 | 365.5 |
Dual infection | 2,981 | 290 | 9.7 | 313.9 |
Multiple infection | 1,746 | 111 | 6.4 | 283.6 |
10∼19 | 106 | 12 | 11.3 | 275.8 |
20∼29 | 3,299 | 336 | 10.2 | 340.3 |
30∼39 | 3,006 | 282 | 9.4 | 329.0 |
40∼49 | 2,732 | 354 | 13.0 | 372.1 |
50∼59 | 2,401 | 271 | 11.3 | 368.5 |
60∼69 | 1,073 | 100 | 9.3 | 295.2 |
>70 | 237 | 14 | 5.9 | 341.7 |
단일 감염을 보이는 8,127명 중 HPV-16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은 55.5%, 9.7%, HPV-18은 62.9%, 15.1%, HPV-31은 59.2%, 7.5%, HPV-33은 60.7%, 9.4%, HPV-45은 70.1%, 16.2%, HPV-52는 54.3%, 10.4%, HPV-58은 50.7%, 9.4%, HPV-26은 72.7%, 9.1%, HPV-35는 70.0%, 13.3%, HPV-39는 66.5%, 13.1%, HPV-51은 68.4%, 12.6%, HPV-53은 61.1%, 12.6%, HPV-56은 62.3%, 12.6%, HPV-59는 71.8%, 10.3%, HPV-66은 70.7%, 12.0%, HPV-68은 59.5%, 15.0%, HPV-69는 80.5%, 14.6%, HPV-73은 77.5%, 20.0%, HPV-82는 73.2%, 16.7%로 조사되었다(Figure 2). 단일 감염에서 HPV-16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은 각각 750명의 환자 중 55.5%와 9.7%로 나타났으며, HPV-18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은 각각 259명의 환자 중 62.9%와 15.1%로 나타났다. 두 유전자형의 전환율과 재발률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단일 감염 환자에서 19개의 고위험 HPV 유전자형 중 음성 전환율이 높은 유전자형은 HPV-69 (80.5%), HPV-73 (77.5%), HPV-82 (73.2%)였으며, 음성 전환율이 낮은 유전자형은 HPV-58 (50.7%), HPV-16 (55.5%), HPV-52 (54.3%)였다. 음성 전환까지의 기간이 긴 유전자형은 HPV-68 (451.9일), HPV-53 (441.5일), HPV-52 (438.6일)였고, 음성 전환까지의 기간이 짧은 유전자형은 HPV-26 (237.0일), HPV-16 (366.0일), HPV-82 (370.0일)였다. 단일 감염 환자에서 음성 전환 후 재발률이 높은 유전자형은 HPV-73 (20.0%), HPV-82 (16.7%), HPV-45 (16.2%)였으며, 재발률이 낮은 유전자형은 HPV-26 (9.1%), HPV-58 (9.4%), HPV-16 (9.7%)이었다. 음성 전환 후 재발까지의 기간이 긴 유전자형은 HPV-68 (551.2일), HPV-45 (410.0일), HPV-82 (408.6일)였으며, 짧은 유전자형은 HPV-26 (220.5일), HPV-73 (267.8일), HPV-59 (329.9일)였다(Table 4, Figure 2). 7개의 주요 유전자형에서 재발 시 동일 유전자형의 재발률은 HPV-16이 38.5%, HPV-18이 27.8%, HPV-31이 35.3%, HPV-33이 50.0%, HPV-45가 47.6%, HPV-52가 56.3%, HPV-58이 47.5%였다(Figure 3).
Rates and time of negative conversion and relapse of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for 5 years according to times
Total | Single infection | Dual infection | Multiple infection | |
---|---|---|---|---|
Negative conversion | ||||
∼1 year | 3,434 (26.7) | 2,624 (32.3) | 608 (20.4) | 202 (11.6) |
∼2 year | 2,271 (17.7) | 1,593 (19.6) | 475 (15.9) | 203 (11.6) |
∼3 year | 800 (6.2) | 537 (6.6) | 169 (5.7) | 94 (5.4) |
∼4 year | 246 (1.9) | 164 (2.0) | 58 (1.9) | 24 (1.4) |
∼5 year | 60 (0.5) | 47 (0.6) | 8 (0.3) | 5 (0.3) |
Relapse | ||||
∼1 year | 864 (6.7) | 575 (7.1) | 206 (6.9) | 83 (4.8) |
∼2 year | 397 (3.1) | 304 (3.7) | 68 (2.3) | 25 (1.4) |
∼3 year | 89 (0.7) | 72 (0.9) | 14 (0.5) | 3 (0.2) |
∼4 year | 16 (0.1) | 14 (0.2) | 2 (0.1) | 0 (0.0) |
∼5 year | 3 (0.0) | 3 (0.0) | 0 (0.0) | 0 (0.0) |
n (%).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현대의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자궁경부암의 생존율은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음성 전환 후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형에 따른 고위험 HPV의 지속성을 알아보고자 고위험군 HPV 유전자 유형별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위험 HPV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은 5년 동안 평균 53.0%였으며,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감소했다. 음성 전환까지의 시간은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증가했으며, 단일 감염 환자에서는 연령과 유전자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재발률은 5년 동안 평균 10.7%였으며,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감소했다. 재발까지의 시간은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감소했으며, 동일 유전자형으로 재발하는 비율은 유전자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초기 검사 결과 가장 많이 검출된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은 HPV-52로 2,517명(19.6%), HPV-53으로 2,378명(18.5%), HPV-58로 1,893명(14.7%) 순으로 나타났으며 HPV-16은 1,657명(12.9%), HPV-18은 697명(5.4%)이었다. 이는 한국 여성의 HPV 유전자 분포를 조사한 연구 결과에서 4,081개의 HPV 양성 검체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유전자는 HPV-16, HPV-58, HPV-68, HPV-56 순인 결과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18], 중국 여성 2,304명 중 가장 흔한 고위험군 HPV 유전자형은 기저 시점에서 HPV-16, 추적 관찰 시 HPV-58이었으며, 기저 시점과 추적 관찰 시 모두 빈번하게 검출되는 유전자형은 HPV-16, HPV-52, HPV-58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19].
단일 감염 환자에서 음성 전환 확률이 높은 유전자형은 HPV-69 (80.5%), HPV-73 (77.5%), HPV-82 (73.2%)이며, HPV-16과 HPV-18은 각각 55.5%, 62.9%로 조사되었다. 음성 전환까지의 기간이 긴 유전자형은 HPV-68 (451.9일), HPV-53 (441.5일), HPV-52 (438.6일)이며, HPV-16과 HPV-18은 각각 366일, 401일로 조사되었다. 단일 감염 환자에서 음성 전환 후 재발 확률이 높은 유전자형은 HPV-73 (20.0%), HPV-82 (16.7%), HPV-45 (16.2%)였으며, HPV-16과 HPV-18은 각각 9.7%, 15.1%로 조사되었다. 음성 전환 후 재발까지의 기간이 긴 유전자형은 HPV-68 (551.2일), HPV-45 (410.0일), HPV-82 (408.6일)였으며, HPV-16과 HPV-18은 각각 357.6일, 363.6일로 조사되었다.
HPV-16과 HPV-18 유전자형은 다른 고위험군 HPV 유전자보다 고등급 편평상피 내 종양병변(high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또는 그 이상 그룹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이며, ‘no dysplasia’로 분류된 환자에서 HPV-16, HPV-18, HPV-58 유전자형이 고위험 HPV 유전자 중 가장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HPV-58은 우리나라에서 자궁경부암이나 HSIL 환자에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3]. 단일 감염에서 HPV-16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은 각각 750명의 환자 중 55.5%와 9.7%로 나타났으며, HPV-18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은 각각 259명의 환자 중 62.9%와 15.1%로 나타났다. 19개의 고위험군 HPV 유전자 중 HPV-16 유전자의 음성 전환율은 3번째로 낮았으며, 재발률은 5번째로 낮았다. HPV-18 유전자는 음성 전환율은 9번째로 낮았으며, 재발률은 16번째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HPV-58 유전자는 음성 전환율은 1번째로 낮았으며, 재발률은 4번째로 낮게 조사되었다. HPV 자궁경부 감염에서 고위험군 HPV 유전자 유형별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을 분석한 보고는 미흡하지만, 고위험 HPV의 음성 전환율은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68.9%에 도달했으며, 치료 후 첫 2년 동안 가장 빠르게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지속적인 HPV 감염은 예후가 좋지 않으며 재발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24].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환자의 원추절제술 후 HPV 감염의 지속률이 약 20%였으며, 지속적인 HPV 감염이 있는 환자의 46%가 치료 후 4∼10개월에 재발했다고 보고하였다[25].
대부분의 HPV 감염은 증상이 없고, 증식이 제한적이며, 숙주의 면역 반응에 따라 자연스럽게 소실되지만 드물게 HPV 감염이 지속된다. 고위험군 HPV의 경우 감염이 지속되고 이를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감염 부위에서 침윤성 암종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침윤성 악성 종양으로의 진행 기간은 일반적으로 최소 10년이며, 고위험군의 HPV 유형은 거의 모든 자궁경부암에서 검출되고 있다[26, 27].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전자형에 따른 고위험 HPV 지속성의 지표인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을 분석한 결과는 HPV에 감염된 환자들의 치료율 및 재발률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은 HPV-16, HPV-18과 같이 자궁경부암의 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PV 감염의 90%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12∼24개월 내에 자연스럽게 제거되거나 비활성화되지만,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전자형에 따른 고위험 HPV의 지속성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본 논문은 고위험 HPV 자궁경부 감염에서 고위험 HPV 유전자형에 따른 음성 전환율과 재발률을 분석했다. 5년 동안 고위험 HPV의 음성 전환율은 평균 53.0%였으며,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음성 전환율이 감소했다. 음성 전환까지 걸리는 시간은 감염된 HPV 유전자형 수가 많을수록 증가했으며, 단일 감염 환자에서는 연령과 유전자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5년 동안 재발률은 평균 10.7%였으며, 감염된 HPV 유전자형의 수가 많을수록 재발률이 감소하고, 재발까지 걸리는 시간도 줄어들었다. 동일 유전자형에서의 재발률은 유전자형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결과는 HPV 감염 환자의 치료효과 판정과 재발률에 대한 예후 추정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one
None
None
Chong MS1, Professor; Park W2, Researcher; Lee K3, M.D.
- Conceptualization: Chong MS, Lee K.
- Data curation: Chong MS, Park W, Lee K.
- Formal analysis: Chong MS, Park W.
- Methodology: Chong MS, Park W, Lee K.
- Software: Park W, Lee K.
- Validation: Chong MS, Lee K.
- Investigation: Chong MS, Park W, Lee K.
- Writing - original draft: Chong MS, Park W, Lee K.
- Writing - review & editing: Chong MS, Park W, Lee K.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protocols approved by the Green Cross Laboratories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Approval numbers: GCL-2024-10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