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738-3544
eISSN 2288-1662
search for   

 

Study on the Agreement Values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Measured by Cardiac Sonographers
Korean J Clin Lab Sci 2023;55:269-275  
Published on December 31, 2023
Copyright © 2023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eol Hwa KIM1 and Sundo JUNG2

1Echocardiography Laboratory, Heart Vascular Stroke Institute,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2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Shinhan University, Uijeongbu, Korea
Correspondence to: Sundo JUNG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Shinhan University, 95 Hoam-ro, Uijeongbu 11644, Korea
E-mail: jungsd93@shinha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4820-2029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Echocardiography is a non-invasive method that is useful for diagnosing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t is known that echocardiography depends on the experience, education, and knowledge level of the cardiac sonograph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greement values between cardiac sonographer with different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using echocardiography. Three readers re-evaluated the echocardiography images of 14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t the S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echocardiography values measured by each read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screte variables revealed that the agreement values of the cardiac sonographers showed excellent consistency for both reader 3 and the cardiologist group, indicating that more experience leads to better predictive accuracy for diagnosis of the condition. Furthermore, in terms of continuous variables, all the cardiac sonographer demonstrated good agreement in the measured values of the right atrium, which was easier to assess and clearer than the structurally complex measurements of the right ventricle.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analysis in Korea of the agreement values measured by medical technologists who are cardiac sonographers.
Keywords : Cardiac sonographer, Echocardiography,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서 론

비침습적이고 재현성이 좋은 심장초음파검사는 실시간으로 심장의 구조와 움직임 그리고 혈역학적인 정보를 얻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심혈관질환 진단에 널리 쓰이고 있다[1-3]. 심장초음파검사는 검사자의 경력과 교육, 지식 정도에 따라 검사 영상과 측정값을 얻는 데 영향을 준다[4, 5]. 심장초음파 검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제도를 갖춘 미국 심장초음파학회(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ASE)에서는 심장초음파 검사자(cardiac sonographer)가 최적의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교육과 검사 기술 및 경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6, 7].

한국 심초음파학회(Kore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KSE)에서는 심초음파 인증의 자격시험이 있다. 그러나 실제 업무에 투입되어 스크린 검사를 하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간호사 등 실무 검사자를 위한 심장초음파검사 교육프로그램 및 가이드라인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현재 심장초음파검사의 교육 및 훈련은 학교에서 배우는 교육이 전부이며 현장 실무에서의 심장초음파검사 교육 및 실습은 도제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초임자가 심장초음파검사를 직접 시행하는 시기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양하다. 심장초음파검사를 처음 시작하는 초임자의 경우 대부분 정상 심장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좌측 심장에 대한 측정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반면 질환에 따라 영향을 받은 심장의 초음파 검사는 흔하게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에 검사자의 검사 기술의 상태나 개인의 역량에 따라 검사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우측 심장에 영향을 주는 폐동맥고혈압을 진단받은 환자의 심장초음파 측정값은 검사자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심장초음파검사는 폐동맥 혈관의 저항성이 증가하여 폐동맥압이 높아진 폐동맥고혈압 질환을 안전하고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폐동맥고혈압 환자에게 필수로 시행되고 있으며[8, 9], 폐동맥고혈압 환자뿐만 아니라 폐동맥고혈압이 의심될 때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중요한 검사로 폐동맥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우측 심장의 기능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10, 11].

본 연구에서는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장초음파검사 영상을 경력이 다른 검사자들이 재측정하여 검사자 간 측정값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값의 일치도 분석을 확인해 보았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사자의 역량과 경력에 따른 측정값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심장초음파검사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훈련,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S 병원에서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심장초음파검사를 받은 148명의 환자로부터 얻어진 심장초음파 영상을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하였다. 심장초음파 영상의 재측정은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1년 이내인 검사자 1 (Reader 1),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3년 이내인 검사자 2 (Reader 2), 마지막으로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10년 이상인 검사자 3 (Reader 3)이 실시하였다. 검사자 1과 3, 검사자 2와 3, 검사자 3과 순환기 내과 전문의(Reader 0)가 확인한 결과값의 일치도를 분석하였으며, 심장초음파검사의 측정 방법은 미국 심장초음파학회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12]. 폐동맥고혈압 진단 시 시행한 심장초음파는 디지털 영상으로 저장하고, ViewPoint 6 프로그램(General Electronic Co.)과 Centricity Universal Viewer (General Electronic Co.)를 이용하여 재측정하였다[13].

본 연구는 S 병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으며 모든 검사자에게 연구동의서를 받아 진행된 전향적 연구이다(IRB file No. SMC 2021-10-078).

1.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임상 결과 분석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분석한 항목은 연령, 성별, 진단 분류, 유병 기간이며, 혈액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티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항목의 임상 결과값은 기술통계를 통해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폐동맥고혈압 평가를 위한 심장초음파 측정항목

심장초음파 측정항목은 폐동맥고혈압에 영향을 받는 우측 심장의 측정값들을 사용하였다(Figure 1). 측정 지표는 우심방(right atrium, RA)의 직경과 면적(right atrium end systolic area, RAESA), 우심방압(right atrium pressure, RAP)을 예측하는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 IVC)의 내경, 다음으로 우심실(right ventricle, RV)의 직경, 우심실의 수축기능(right ventricle systolic function)을 평가하기 위해 우심실 분획면적변화(fractional area change, FAC)를 평가하였다. 그 외에 삼천판륜의 수축기 이동거리(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TAPSE), 삼천판륜 수축속도(tricuspid lateral annular systolic velocity, [s’ velocity]), 우심실 수축기압(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RVSP), 평균 폐동맥압(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eanPAP)은 연속변수로 비교하였다. 다음 측정 지표는 우심실의 압력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소견인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 상태, 우심실의 수축기능 유지,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역류 유무는 영상을 보고 직관적으로 판단해서 평가하는 이산변수로 비교하였다.

Fig. 1. Right heart index for evaluating pulmonary hypertension, (A) RV size, (B) RVFAC, (C) RV systolic function, (D) RAESA, (E) RA size, (F) IVC size, (G) D-shaped LV, (H) RVSP, (I) TAPSE, (J) S’ velocity, (K) MeanPAP.
Abbreviations: RV, right ventricle; RVFAC, right ventricular fractional area change; RAESA, right atrium end systolic area; RA, right atrium; IVC, inferior vena cava; LV, left ventricle; RVSP, 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TAPSE,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PAP, pulmonary artery pressure; ED, end diastole; ES, end systole; IAS, inter atrial septum; TRV, tricuspid regurgitation vmax; TVIRVOT,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ime velocity integral.

3. 통계적 분석

일반적인 임상 결과는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심장초음파 측정값 중 연속변수의 검사자 간 통계 비교는 ANOVA로 이산변수의 측정 비교는 χ2-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검사자 간의 일치도 분석은 Cohen’s Kappa로 진행하였다. 두 검사자 간의 일치도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통계 분석의 유의수준은 P<0.05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과 임상 결과

148명의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과 임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폐동맥고혈압 발생 비율이 남성에서보다 여성에게 높다고 알려진 바와 같이[7], 본 연구에서도 27.7%의 발생률을 보인 남성보다 여성에서 72.3%의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임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혈액검사 결과에서도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진 NT-proBNP 수치가 정상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상승해 있었다(Table 1).

Gener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Variable Normal range Patient (% or mean±SD)
Sex M 27.7
F 72.3
PAH IPAH 37.8
APAH 62.2
Age 52.9±15.0
Disease duration (yr) 3.62±3.8
Blood urea nitrogen (mg/dL) 6∼23 15.9±10.0
Creatine (mg/dL) M: 36∼259/F: 28∼217 0.87±0.6
NT-proBNP (pg/mL) 0∼222 1,158.6±4,026.7

Abbreviations: M, male; F, female; PA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PAH,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PAH, associated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NT-proBNP,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2.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심장초음파검사 결과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된 148명의 환자로부터 얻어진 심장초음파 영상을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하였다. 각 검사자의 측정값 중 이산변수의 값은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Tables 2, 3), 검사자 간의 일치도는 Cohen’s Kappa 값으로 제시하였다. 연속변수에 대한 검사자의 측정값 결과는 Table 4Table 5로 정리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이들 검사자 간 일치도 확인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Analysis of discrete variable measurements in echocardiography (%)

Variable Reader 1 Reader 2 Reader 3 Reader 0 P-value
D-shaped of left ventricle 44.6 74.3 48.0 50.7 <0.001
Right ventricle dilatation 75.0 60.1 53.4 56.8 <0.001
Right ventricle systolic function 60.1 54.7 50.7 52.0 0.259
Inferior vena cava plethora 19.6 10.2 9.6 10.9 0.017
Tricuspid regurgitation grade 83.8 100 98 96.6 <0.001

P-values were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readers for discrete variables in echocardiography

Variable Reader 1-3 Reader 2-3 Reader 3-0
D-shaped of left ventricle 0.72 0.46 0.78
Right ventricle dilatation 0.41 0.76 0.85
Right ventricle systolic function 0.46 0.62 0.81
Inferior vena cava plethora 0.36 0.53 0.63
Tricuspid regurgitation grade 0.32 0.5 0.77

Cohen’s Kappa: <0.2, slight agreement; 0.21∼0.4, fair agreement; 0.41∼0.6, moderate agreement; 0.61∼0.8, substantial agreement; 0.81∼1.0, almost perfect agreement.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 measurements in echocardiography (mean±SD)

Variable Reader 1 Reader 2 Reader 3 Reader 0 P-value
Base right ventricle (mm) 41.0±9.7 46.2±8.3 43.4±9.2 43.9±9.1 <0.001
Mid right ventricle (mm) 34.7±9.8 34.4±7.1 34.9±9.1 35.4±9.2 <0.001
Right ventricle fractional area change (%) 32.6±12.1 30.9±9.5 36.2±11.0 33.5±10.2 <0.001
Right ventricle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mm) 19.6±5.6 16.5±4.3 17.4±4.5 17.4±4.6 <0.001
Right ventricle S’ (m/sec) 0.14±0.04 0.1±0.02 0.17±0.2 0.14±0.2 <0.001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mHg) 33.7±12.4 35.9±9.7 37.4±11.9 36.5±10.7 0.032
Right ventricle systolic pressure (mmHg) 57.3±29.1 61.3±30.5 60.5±27.7 60.6±27.8 0.462
Right atrium size (mm) 42.1±12.8 44.8±10.1 44.5±11.0 43.9±11.9 0.080
Right atrium end systolic area (cm2) 18.6±10.9 19.9±9.4 19.1±9.2 20.1±10.0 0.510
Inferior vena cava size (mm) 16.3±29.1 16.9±4.2 17.1±5.8 17.2±5.3 0.017

P-values were calculated by ANOVA.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readers for continuous variables in echocardiography

Variable Reader 1-3 Reader 2-3 Reader 3-0
Base right ventricle (mm) <0.001 <0.001 0.012
Mid right ventricle (mm) 0.628 0.120 0.063
Right ventricle fractional area change (%) <0.001 <0.001 <0.001
Right ventricle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mm) <0.001 <0.001 0.353
Right ventricle S’ (m/sec) 0.127 <0.001 0.134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mHg) <0.001 0.024 0.080
Right ventricle systolic pressure (mmHg) 0.460 0.590 0.131
Right atrium size (mm) <0.001 0.520 0.210
Right atrium end systolic area (cm2) 0.176 <0.001 0.014
Inferior vena cava size (mm) 0.032 0.455 0.540

P-values were calculated by paired t-test.



1) 이산변수 측정 결과 분석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가 심장초음파 영상을 재측정한 측정 항목에서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 우심실의 수축기능 유지,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 역류 유무는 이산변수로 평가하였다(Table 2). 경력이 다른 3명 검사자의 측정 결과에서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역류 유무에 대한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검사자 간 측정값의 일치도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산변수 측정 결과 중 유일하게 우심실의 수축기능 측정값이 3명의 검사자 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259).

2) 이산변수에 대한 검사자 간의 일치도 분석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 우심실의 수축기능,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역류 유무에 대한 측정값을 검사자 1과 3, 검사자 2와 3, 검사자 3과 0으로 비교하여 검사자 간 측정값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였다(Table 3). 검사자 1과 3에서는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측정값에서 kappa>0.6으로 우수한 일치도를 보였으며, 검사자 2와 3에서는 우심실의 확장과 우심실의 수축기능 저하에 대한 지표가 kappa>0.6으로 우수한 일치도를 보였다. 검사자 3과 0 (순환기 내과 전문의) 사이에서는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 우심실의 수축기능,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역류 유무에 대한 측정값에서 kappa>0.6으로 모든 이산변수에 대해 우수한 일치도를 보였다.

3) 연속변수 측정 결과 분석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한 우심실 직경, 우심실 중간 내경, 우심실 분획면적변화, 우심실 삼천판륜의 수축기 이동거리, 우심실 판륜 수축 속도, 평균 폐동맥압, 우심실 수축기압, 우심방의 직경, 우심방 수축기말 면적, 하대정맥의 내경에 대한 측정값을 연속변수로 비교 분석하였다(Table 4).

연속변수에 대한 검사자들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10개 연속변수 중에서 우심실 수축기압, 우심방 내경, 우심방의 수축기말 면적에 대한 측정값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나머지 7개 연속변수에 대해서는 검사자 간 측정값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속변수의 측정 결과에서 검사자 1은 다른 검사자의 측정값에 비해 표준편차의 폭이 넓게 나타났다.

4) 연속변수에 대한 검사자 간의 일치도 분석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 사이에서 심장초음파 측정값을 연속변수로 비교 분석하였다(Table 5). 검사자 간 일치도에서 검사자 1과 3에서 우심실의 중간 내경, 삼천판륜 수축 속도, 우심실 수축기압, 우심방 수축기말 면적의 측정값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일치도를 보였다. 검사자 2와 3에서 우심실 중간 내경, 우심실 수축기압, 우심방 내경, 하대정맥 내경값은 일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검사자 3과 0 (순환기 내과 전문의)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우심실의 기저 내경, 우심실 분획면적변화, 우심방의 수축기말 면적 측정값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일치도를 보였고, 앞의 두 그룹보다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검사자 간 모든 그룹에서 일치한 항목은 우심실의 중간 내경과 우심실 수축기압이었다.

고 찰

본 연구는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에 따라 측정값에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해 보았다.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된 148명의 환자로부터 얻어진 심장초음파 영상을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한 결과, D 모양의 좌심실 상태, 우심실 확장상태, 우심실의 수축기능 상태, 하대정맥 울혈, 삼천판역류 유무에 대한 이산변수 측정값에서 검사자 간 측정값에서 유일하게 일치도를 보인 항목은 우심실 수축기능 상태(P=0.259)를 평가한 지표이다(Table 2). 이 변수는 좌심실의 수축기능 상태평가와 유사하여 초임자도 다른 측정 지표에 비해 평가가 유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좌심실의 수축 기능 평가는 심장초음파검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측정 항목으로 초임자가 가장 먼저 접하는 평가 항목이기 때문이다. Table 3은 이산변수에 대한 검사자 간 일치도 평가로 검사자 3과 0 (순환기 내과 전문의) 측정값에서 모두 우수한 일치도(kappa>0.6)를 보였다. 연속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측정값은 우심실의 수축기압(P=0.462), 우심방 내경(P=0.080), 우심방의 수축기말 면적(P=0.510)으로 검사자들의 측정값이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모든 검사자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우심실의 측정값보다 내면이 단순하고 명확한 우심방의 측정값에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4). 또한, 연속변수에서 검사자 1의 측정한 값의 표준편차가 다른 검사자들에 비해 폭 넓은 편차를 보여 경력이 적을수록 측정값의 변동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속변수에 대한 검사자 간의 측정값 일치도 분석에서(Table 5) 특히 우심실 분획면적변화의 측정값은 모든 검사자 간 일치도를 보이지 않았다(P<0.001). 결과적으로 심장초음파 검사자의 경력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있으며, 심장주기에 따라 움직이는 우심실 면적의 변화와 복잡한 구조로 측정의 섬세함이 요구되는 우심실 측정에서 검사자 간 측정 오차가 생길 수 있어 모든 검사자 간의 일치도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P<0.001). 따라서 검사자의 역량과 경력에 따른 측정값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신뢰성 있는 검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사자는 심장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식 유지와 습득,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현대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음주와 흡연 등과 같은 개인의 생활 습관, 운동 부족과 비만 인구 증가는 심혈관계 질환 증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심장질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심장초음파검사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심장초음파검사는 다른 초음파 검사와 달리 심장주기로 인해 움직이는 심장의 상태를 평가해야 하며 환자의 호흡 상태, 포지션 및 기저질환 등에 따라 영상의 질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심장초음파 영상에 많은 경험이 있는 검사자가 다양한 영상에 익숙하고 측정값에도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에서 경력이 다른 검사자에서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검사자는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실무 검사자를 위한 심장초음파검사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현실이다. 심장초음파 검사자의 교육 제도가 잘 갖추어진 미국은 검사 실무자에 대한 교육환경이 잘 되어 있다. 심장초음파 검사자를 위한 전문대학이 있고, 많은 병원에서 심장 검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ASE에서는 교육과정, 실기 훈련코스 및 보수교육을 제시한다[14, 15]. 특히 실기 훈련에 대해 일반 심장초음파는 6개월 동안 약 480건, 부하 심장초음파 검사는 일반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있는 검사자가 6개월 동안 약 50건의 검사를 시행하고 해석해 볼 것을 권고하고 있다[16, 17]. 또한, 미국진단초음파협회(American Registry for 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ARDMS)에서는 심장초음파검사에 대한 자격을 주고 있으며[18], 자격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과정과 고급 검사자 단계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9, 20]. 국내에서도 심장초음파 검사자들을 위해 전문적인 교육 마련을 위해 미국의 경우를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심장초음파검사 결과가 질병 진단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좋은 영상 확보와 정확한 측정값이 요구되며,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심장초음파 검사자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검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에서도 미국과 같은 전문적인 지식습득 및 전문적인 실무 경험을 받을 수 있는 환경과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내 임상병리학과의 수업 시간을 확대하고 학생들이 충분히 심장초음파 검사의 실습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병원 역시 실무 경험이 가능한 방안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 임상생리기능검사학회는 지속적인 학술 활동과 지금처럼 기초 교육과정을 유지하면서 고급 교육과정, Hands on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교육을 신설하여 실무자의 교육환경에 힘써야겠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대상이 단일 병원이란 것, 둘째, 3명 검사자의 기준을 경력으로만 제한한 점, 셋째, 검사자 간 일치도 조사를 통해 정확성은 비교하였으나, 각 검사자의 재현성을 비교하지 못한 점이다. 다양한 경력의 검사자와 실무교육 정도가 다른 검사자 간 일치도 확인, 검사자 내 재현성을 추가 연구한다면 좀 더 정확하고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 검사자 간의 일치도를 평가한 국내 첫 연구로 향후 심장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요 약

심장초음파검사는 폐동맥고혈압 진단에 유용한 비침습 방법으로 심장초음파 검사자의 교육상태, 지식수준, 경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심장초음파 영상을 경력이 다른 검사자 간의 측정값 일치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S 병원에서 폐동맥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심장초음파 검사를 받은 148명 환자의 심장초음파 영상을 심장초음파검사 경력이 다른 3명의 검사자가 재측정하였다. 각 검사자가 측정한 심장초음파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이산변수 분석에서 검사자 간 일치도 평가는 검사자 3과 심장내과 전문의 그룹에서 모두 우수한 일치도를 보여 검사 경력이 많을수록 측정값 예측에 유리했다. 또한, 연속변수에서 모든 검사자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우심실의 측정값보다 내면이 단순하고 명확한 우심방의 측정값에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는 임상병리사 중 경력이 다른 임상병리사들이 심장초음파 영상을 재측정한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한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article is a revision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2023 and Proceeded by support project for thesis submission by member practitioners. Proofreading performed by Park SK.

Funding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Author’s information (Position)

Kim SH1,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Jung SD2, Professor.

Author Contributions

- Conceptualization: Kim SH.

- Data curation: Kim SH.

- Formal analysis: Kim SH.

- Methodology: Kim SH.

- Writing - original draft: Kim SH.

- Writing - review & editing: Kim SH, Jung SD.

Ethics approval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ppro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No. SMC 2021-10-078).

References
  1. Feigenbaum H. Evolution of echocardiography. Circulation. 1996;93:1321-1327. https://doi.org/10.1161/01.cir.93.7.1321
    Pubmed CrossRef
  2. Matulevicius SA, Rohatgi A, Das SR, Price AL, DeLuna A, Reimold SC. Appropriate use and clinical impact of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JAMA Intern Med. 2013;173:1600-1607. https://doi.org/10.1001/jamainternmed.2013.8972
    Pubmed CrossRef
  3. Steeds RP, Garbi M, Cardim N, Kasprzak JD, Sade E, Nihoyannopoulos P, et al. EACVI appropriateness criteria for the use of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in adults: a report of literature and current practice review. Eur Heart J Cardiovasc Imaging. 2017;18:1191-1204. https://doi.org/10.1093/ehjci/jew333
    Pubmed CrossRef
  4. Waggoner AD, Skelly AC. The profession of cardiac sonography and the status of professionalization of cardiac sonographers. J Am Soc Echocardiogr. 1999;12:335-342. https://doi.org/10.1016/s0894-7317(99)70057-x
    Pubmed CrossRef
  5. Nicastro I, Barletta V, Conte L, Fabiani I, Morgantini A, Lastrucci G, et al. Professional education, training and role of the cardiac sonographer in different countries. J Cardiovasc Echogr. 2013;23:18-23. https://doi.org/10.4103/2211-4122.117981
    Pubmed KoreaMed CrossRef
  6. Bierig SM, Ehler D, Knoll ML, Waggoner AD.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minimum standards for the cardiac sonographer: a position paper. J Am Soc Echocardiogr. 2006;19:471-474. https://doi.org/10.1016/j.echo.2006.03.032
    Pubmed CrossRef
  7. Mitchell C, Rahko PS, Blauwet LA, Canaday B, Finstuen JA, Foster MC, et al. Guidelines for performing a comprehensive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in adults: recommendations from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J Am Soc Echocardiogr. 2019;32:1-64. https://doi.org/10.1016/j.echo.2018.06.004
    Pubmed CrossRef
  8. Park JH, Na JO, Lee JS, Kim YH, Chang HJ. 2020 KSC/KATRD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executive summary. Tuberc Respir Dis (Seoul). 2022;85:1-10. https://doi.org/10.4046/trd.2021.0022
    Pubmed KoreaMed CrossRef
  9. Seo HS, Lee NH. Diagnosis and assessment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Korean J Med. 2010;78:5-13.
  10. Bossone E, D'Andrea A, D'Alto M, Citro R, Argiento P, Ferrara F, et al. Echocardiography in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from diagnosis to prognosis. J Am Soc Echocardiogr. 2013;26:1-14. https://doi.org/10.1016/j.echo.2012.10.009
    Pubmed CrossRef
  11. Bossone E, Bodini BD, Mazza A, Allegra L.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the key role of echocardiography. Chest. 2005;127:1836-1843. https://doi.org/10.1378/chest.127.5.1836
    Pubmed CrossRef
  12. Rudski LG, Lai WW, Afilalo J, Hua L, Handschumacher MD, Chandrasekaran K, et al. Guidelines for the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the right heart in adults: a report from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endorsed by the European Association of Echocardiography, a registered branch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Canadi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J Am Soc Echocardiogr. 2010;23:685-713; quiz 786-788. https://doi.org/10.1016/j.echo.2010.05.010
    Pubmed CrossRef
  13. Main ML, Thomas JD. Digital echocardiography. Curr Opin Cardiol. 1998;13:404-408. https://doi.org/10.1097/00001573-199811000-00004
    Pubmed CrossRef
  14. Ehler D, Carney DK, Dempsey AL, Rigling R, Kraft C, Witt SA, et al. Guidelines for cardiac sonographer education: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Sonographer Training and Education Committee. J Am Soc Echocardiogr. 2001;14:77-84. https://doi.org/10.1067/mje.2001.109922
    Pubmed CrossRef
  15. Gardner CJ, Brown S, Hagen-Ansert S, Harrigan P, Kisslo J, Kisslo K, et al. Guidelines for cardiac sonographer education: report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Sonographer Education and Training Committee. J Am Soc Echocardiogr. 1992;5:635-639. https://doi.org/10.1016/s0894-7317(14)80331-3
    Pubmed CrossRef
  16. Pellikka PA, Nagueh SF, Elhendy AA, Kuehl CA, Sawada SG.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recommendations for performanc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tress echocardiography. J Am Soc Echocardiogr. 2007;20:1021-1041. https://doi.org/10.1016/j.echo.2007.07.003
    Pubmed CrossRef
  17. Pearlman AS, Gardin JM, Martin RP, Parisi AF, Popp RL, Quinones MA, et al. Guidelines for optimal physician training in echocardiography.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Committee for physician training in echocardiography. Am J Cardiol. 1987;60:158-163. https://doi.org/10.1016/0002-9149(87)91004-6
    Pubmed CrossRef
  18. American Registry for 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ARDMS). Registered diagnostic cardiac sonographer® (RDCS®) [Internet]. ARDMS [cited 2023 October 26].
    Available from: https://www.ardms.org/get-certified/rdcs/
  19. Marriner M. Sonographer quality management. J Echocardiogr. 2020;18:44-46. https://doi.org/10.1007/s12574-019-00430-3
    Pubmed KoreaMed CrossRef
  20. Mitchell C, Miller FA Jr, Bierig SM, Bremer ML, Ehler D, Hanlon T, et al. Advanced Cardiovascular Sonographer: a propos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Advanced Practice Sonographer Task Force. J Am Soc Echocardiogr. 2009;22:1409-1413. https://doi.org/10.1016/j.echo.2009.10.002
    Pubmed CrossRef

Full Text(PDF) Fre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