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락탐 (β-lactam) 항균제를 분해할 수 있는 TEM, SHV, CTX-M 등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장내 세균이 확산됨에 따라, 광범위 치료 효과가 우수한 carbapenem이 ESBL 생성 장내 세균의 주요 항균제로 사용되었다[1]. 최근 들어 carbapenem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carbapenem 내성 장내 세균(carbapenem-resistant
1993년 NMC (not metalloenzyme carbapenemase)에 의한 CPE가 처음 보고된 이후, 다양한 CPE들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2].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청에 보고된 CPE의 분리 건수를 살펴보면, 2015년 565건, 2016년 1,453건, 2017년 2,657건으로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6].
또한, 2012년 이후 보고된 CPE의 분리 균종은
이러한 CPE의 빠른 전파 속도와 항균제 내성률 증가를 지속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간, 지역, 의료기관 등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역학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년 동안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본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지침에 따라[13], amikacin, gentamicin, ertapenem, imipenem, meropenem, ceftazidime, cefotaxime, cefepime, cipro-floxa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hloram-phenicol, tigecycline (BioMerieux)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Mueller-Hinton 한천 배지(Difco, Cockeysville, MD, USA)를 사용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정도관리를 위해
CRKP 78 균주를 대상으로 carbapenemase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primer (Table 1)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14]. 먼저, 대상 균주는 brain heart infusion broth (Difco)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Genomic DNA Prep Kit (Solgent,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DNA 추출액(5 μL), 10×
Oligonucleotides primers used in current study
Genes | Sequence (5’-3’) | Annealing temperature (℃) | Product size (bp) | References |
---|---|---|---|---|
Carbapenemase gene primers | ||||
F: GGAATAGAGTGGCTTAAYTCTC | 52 | 232 | [14] | |
R: GGTTTAAYAAAACAACCACC | ||||
F: GATGGTGTTTGGTCGCATA | 52 | 390 | [14] | |
R: CGAATGCGCAGCACCAG | ||||
F: GCGTGGTTAAGGATGAACAC | 52 | 438 | [14] | |
R: CATCAAGTTCAACCCAACCG | ||||
F: GGTTTGGCGATCTGGTTTTC | 52 | 621 | [14] | |
R: CGGAATGGCTCATCACGATC | ||||
F: CGTCTAGTTCTGCTGTCTTG | 52 | 798 | [14] | |
R: CTTGTCATCCTTGTTAGGCG | ||||
MLST gene primers | ||||
F: GGCGAAATGGCWGAGAACCA | 50 | 501 | [15] | |
R: GAGTCTTCGAAGTTGTAACC | ||||
F: TGAAATATGACTCCACTCACGG | 60 | 450 | [15] | |
R: CTTCAGAAGCGGCTTTGATGGCTT | ||||
F: CCCAACTCGCTTCAGGTTCAG | 50 | 477 | [15] | |
R: CCGTTTTTCCCCAGCAGCAG | ||||
F: GAGAAAAACCTGCCTGTACTGCTGGC | 50 | 432 | [15] | |
R: CGCGCCACGCTTTATAGCGGTTAAT | ||||
F: ACCTACCGCAACACCGACTTCTTCGG | 50 | 420 | [15] | |
R: TGATCAGAACTGGTAGGTGAT | ||||
F: CTCGCTGCTGGACTATATTCG | 50 | 318 | [15] | |
R: CGCTTTCAGCTCAAGAACTTC | ||||
F: CTTTATACCTCGGTACATCAGGTT | 45 | 414 | [15] | |
R: ATTCGCCGGCTGRGCRGAGAG |
Abbreviation: MLST,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는
Carbapenemase 유전자의 검출을 위해 PCR과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총 78 균주의 CRKP 중 35 균주(44.9%)가 carbapenemase-producing
총 35 균주의 CPKP를 대상으로 MLST를 시행한 결과, 총 10개의 ST를 확인하였다(Table 2). 10개의 ST 중 가장 흔한 유형은 ST307이었고, 총 35 균주 중 18 균주(51.4%)에서 확인되었다. 그다음으로 ST789가 4 균주(11.4%)에서 확인되었으며, ST48과 ST147이 각각 3 균주(8.6%), ST11이 2 균주(5.7%)에서 확인되었다. 나머지 5개의 ST (ST25, ST337, ST395, ST714, ST1944)는 각각 1 균주(2.9%)에서 확인되었다.
MLST analysis of 35 carbapenemase-producing
ST | Allelic profile | No. of isolates (%) |
||||||
---|---|---|---|---|---|---|---|---|
307 | 1 | 4 | 2 | 52 | 1 | 1 | 7 | 18 (51.4) |
789 | 1 | 25 | 1 | 1 | 20 | 10 | 22 | 4 (11.4) |
48 | 1 | 2 | 2 | 2 | 7 | 5 | 10 | 3 (8.6) |
147 | 4 | 3 | 6 | 1 | 7 | 4 | 38 | 3 (8.6) |
11 | 1 | 3 | 1 | 1 | 1 | 3 | 4 | 2 (5.7) |
25 | 4 | 2 | 1 | 1 | 10 | 1 | 13 | 1 (2.9) |
337 | 1 | 2 | 11 | 1 | 1 | 1 | 13 | 1 (2.9) |
395 | 1 | 3 | 2 | 4 | 1 | 1 | 4 | 1 (2.9) |
714 | 4 | 2 | 2 | 2 | 6 | 3 | 160 | 1 (2.9) |
1944 | 115 | 2 | 1 | 6 | 9 | 1 | 182 | 1 (2.9) |
Abbreviation: ST, sequence type.
연도별 확인된 ST의 유형을 살펴보면,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4개의 ST가 분포하였고, 이 중 3개의 ST (ST307, ST789, ST11)가 동일하게 확인되었다(Table 3). 2019년에는 2개의 ST가 분포하였고, 2020년에는 5개의 ST가 확인되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 동안 지속적으로 확인된 ST 유형은 ST307이었고, 2017년을 제외한 2018년 42.9% (총 7 균주 중 3 균주), 2019년 70.0% (총 10 균주 중 7 균주), 2020년 53.8% (총 13 균주 중 7 균주)로, 연도별 분포한 ST 중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다.
Prevalence of ST based on year in 35 CPKP isolates collected during a four-years periods
Years | No. of isolates (%) | ST (N) |
---|---|---|
2017 | 5 (14.3) | 789 (2), 337 (1), 307 (1), 11 (1) |
2018 | 7 (20.0) | 307 (3), 789 (2), 395 (1), 11 (1) |
2019 | 10 (28.6) | 307 (7), 48 (3) |
2020 | 13 (37.1) | 307 (7), 147 (3), 1944 (1), 714 (1), 25 (1) |
Abbreviation: ST, sequence type.
임상 검체의 종류에 따라 CPKP 35 균주를 분리한 결과, 21 균주(60.0%)가 대변(직장 도말 검체 포함)에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7개의 ST가 확인되었다(Table 4). 이 중 ST307이 15 균주(71.4%)로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6개의 ST (ST48, ST147, ST337, ST714, ST781, ST1944)가 각각 1 균주(4.8%)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CPKP 35 균주 중 6 균주(17.1%)가 소변에서 분리되었으며, 4개의 ST가 확인되었다. ST789가 3 균주(50.0%)에서 확인되었으며, ST11, ST147, ST307이 각각 1 균주(16.7%)에서 확인되었다. 객담에서 분리된 5 균주(14.3%)는 4개의 ST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ST48이 2 균주(40.0%)에서 확인되었고, ST11, ST25, ST147이 각각 1 균주(20.0%)에서 확인되었다. 담즙에서 분리된 2 균주(5.7%)는 모두 ST307로 확인되었고, 혈액에서 분리된 1 균주(2.9%)는 ST395로 확인되었다.
Prevalence of ST based on specimen in 35 CPKP isolates
Specimens | No. of isolates (%) | ST (N) |
---|---|---|
Stool | 21 (60.0) | 307 (15), 48 (1), 147 (1), 337 (1), 714 (1), 789 (1), 1944 (1) |
Urine | 6 (17.1) | 789 (3), 11 (1), 147 (1), 307 (1) |
Sputum | 5 (14.3) | 48 (2), 11 (1), 25 (1), 147 (1) |
Bile | 2 (5.7) | 307 (2) |
Blood | 1 (2.9) | 395 (1) |
Abbreviation: ST, sequence type.
Carbapenemase 생성에 따른 ST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KPC-2가 확인된 30 균주는 7개의 ST가 확인되었고, 이 중 ST307이 18 균주(60.0%)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Table 5). 순차적으로 ST789가 4 균주(13.3%), ST48이 3 균주(10.0%), ST11이 2 균주(6.7%)로 분포하였고, ST25, ST337, ST395에서 각각 1 균주(3.3%)로 분포하였다. NDM-1이 확인된 4 균주는 2개의 ST가 확인되었는데, 이 중 ST147이 3 균주(75.0%)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ST714가 1 균주(25.0%)로 분포하였다. NDM-5가 확인된 1 균주는 ST1944에서 분포하였다.
Prevalence of ST based on carbapenemase in 35 CPKP isolates
Carbapenemase | No. of isolates (%) | ST (N) |
---|---|---|
KPC-2 | 30 (85.7) | 307 (18), 789 (4), 48 (3), 11 (2), 25 (1), 337 (1), 395 (1) |
NDM-1 | 4 (11.4) | 147 (3), 714 (1) |
NDM-5 | 1 (2.9) | 1944 (1) |
Abbreviation: ST, sequence type.
총 35 균주의 CPKP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ertapenem, imipenem, meropenem, ceftazidime, cefotaxime에 35 균주(100%) 모두 내성을 보였으며, cefepime, ciprofloxacin에 94.3% (33 균주)의 높은 내성을 보였다(Table 6). 또한, 순차적으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85.7% (30 균주), chloramphenicol에 60.0% (21 균주), gentamicin에 51.4% (18 균주)의 내성을 보였고, tigecycline은 22.9% (8 균주)의 비교적 낮은 내성을 보였으며, amikacin은 2.9% (1 균주)의 매우 낮은 내성을 보였다.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 of 35 CPKP isolates according to ST
ST | No. of isolates | AMK | GEN | ETP | IPM | MPM | CAZ | CTX | FEP | CIP | TMP/SMX | CHL | TGC | ||||||||||||||||||||||||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S | I | R | ||
307 | 18 | 17 | 0 | 1 | 4 | 1 | 13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0 | 0 | 18 | 3 | 7 | 8 | 6 | 5 | 7 |
789 | 4 | 4 | 0 | 0 | 4 | 0 | 0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0 | 4 | 0 | 1 | 3 | 2 | 2 | 0 |
48 | 3 | 3 | 0 | 0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3 | 0 | 0 | 0 | 0 | 3 | 3 | 0 | 0 |
147 | 3 | 3 | 0 | 0 | 3 | 0 | 0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0 | 0 | 3 | 1 | 0 | 2 | 2 | 1 | 0 |
11 | 2 | 2 | 0 | 0 | 1 | 0 | 1 | 0 | 0 | 2 | 0 | 0 | 2 | 0 | 0 | 2 | 0 | 0 | 2 | 0 | 0 | 2 | 0 | 1 | 1 | 0 | 0 | 2 | 1 | 0 | 1 | 1 | 0 | 1 | 1 | 1 | 0 |
25 | 1 | 1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337 | 1 | 1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1 | 0 | 0 |
395 | 1 | 1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1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1 | 0 |
714 | 1 | 1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944 | 1 | 1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0 | 0 | 1 | 1 | 0 | 0 | 0 | 0 | 1 | 0 | 0 | 1 | 1 | 0 | 0 |
Total | 35 | 34 | 0 | 1 | 16 | 1 | 18 | 0 | 0 | 35 | 0 | 0 | 35 | 0 | 0 | 35 | 0 | 0 | 35 | 0 | 0 | 35 | 0 | 2 | 33 | 2 | 0 | 33 | 5 | 0 | 30 | 6 | 8 | 21 | 17 | 10 | 8 |
Abbreviations: ST, sequence type; AMK, amikacin; GEN, gentamicin; ETP, ertapenem; IPM, imipenem; MEM, meropenem; CAZ, ceftazidime; CTX, cefotaxime; FEP, cefepime; CIP, ciprofloxacin; TMP/SMX,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HL, chloramphenicol; TGC, tigecycline; S, susceptible; I, intermediate resistant; R, resistant.
18 균주의 ST307은 12종의 항균제 중 8종(ertapenem, imipenem, meropenem, ceftazidime, cefotaxime, cefe-pime, ciprofloxa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해 모두 내성임을 확인하였다. ST307은 amikacin에 내성을 보인 1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tigecycline에 내성을 보인 총 8 균주 중 87.5% (7 균주)로 확인되었다. 또한, gentamicin에 내성을 보인 총 18 균주 중 72.2% (13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chloramphenicol에 내성인 21 균주의 38.1% (8 균주)로 확인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CPE의 출현과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 치료와 감염 관리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국내의 경우, CPE는 원내 감염 및 지역 사회의 항균제 내성 전파에 관여하는 주요 다제 내성균 중 하나이고,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와 철저한 감염 관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최근 4년 동안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RKP 중 CPKP는 44.9% (35/78)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KPC-2 생성
또한, NDM-1 생성
역학관계 확인을 위해 CPKP 35 균주를 대상으로 MLST를 실시한 결과, ST307이 51.4% (18/35)로 가장 흔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ST307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 동안 지속적으로 분포하였고, 모두 KPC-2 생성
ST307은 전 세계적으로 우세한 주요 클론 중 하나로, 이탈리아, 한국, 미국, 멕시코, 중국 등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fluoroquinolone, 제3세대 cephalosporin, carbapenem 계열 항균제에 대한 높은 내성과 관련하여 고위험 병원균으로 보고되고 있다[8, 20-23]. Yoon 등의 연구에 의하면, 2009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KPC 생성
본 연구에서 CPKP 35 균주 중 두 번째로 흔한 ST 유형은 11.4% (4/35)로 확인된 ST789로, 모두 KPC-2 생성
또한, 세 번째로 흔한 ST48과 ST147은 각각 8.6%를 차지하였다. 흥미롭게도, ST48은 2019년에 3 균주가 분포하였고, 모두 KPC-2 생성
네 번째로 5.7%를 차지한 ST11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전파된 ST258의 single locus variant로, 유럽 전역과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요 클론으로 보고되고 있다[5, 29]. 2014년 브라질에서 발표한 Andrade 등의 연구에 의하면, ST11에서 집락화, 생물막 형성 및 식균 작용 방어에 관여하는 많은 독성 인자와 다제 내성이 확인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ST11의 클론 확산에 대한 우려를 보고하였다[30]. 그밖에 확인된 ST25, ST337, ST395, ST714, ST1944 또한 향후 국내 고위험 주요 클론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RKP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4년 동안 다제 내성 ST307이 확인되었고, 모두 KPC-2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전 세계적으로 우세한 클론의 국내 확산 및 정착화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CPE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감시와 적절한 감염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arbapenemase 생성 장내 세균(carbapenemase-pro-ducing
78 균주의 CRKP 중 35 균주(44.9%)가 carbapenemase 생성
This paper was supported by academic research fund offered from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22.
None
Cho HH,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