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Distribution of the Fasting Lipid Levels and Validation of the Reference Interval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lin Lab Sci 2018;50:253-260  
Published on September 30, 2018
Copyright © 2018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eyoung Kwon, and Youngak Na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Daegu Health College, Daegu, Korea
Correspondence to: Seyoung Kwon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Daegu Health College, 15 Yeongsong-ro, Buk-gu, Daegu 41453, Korea Tel: 82-53-320-1362 Fax: 82-53-320-1450 E-mail: sykwon@dhc.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With the growing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adolescents, its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overviewed the fasting lipi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and reviewed the percentile of its reference interval. This study targeted 2,713 adolescents aged between 10 and 19 (1,436 boys, 1,275 girls) based on the data from 2013 to 2016,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mean fasting lipid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non-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girls was higher than those of boys. Although the 95th percentile of the cholesterol value was 200 mg/dL in boys, which was equivalent to the diagnosis criterion, the mean value of girls was 208 mg/dL, staying between the 90th and 95th percentiles. The 95th percentiles of the LDL cholesterol, non-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value were 123, 148, and 147 mg/dL in boys, respectively, and 131, 149, and 139 mg/dL in girls, respectively. Most of the criteria of dyslipidemia were at the proper level, within the 90th and 95th percentile. While the criteria of LDL cholesterol (130 mg/dL) was higher in boys, the triglycerides was higher in girls. In conclusion, criteria more suitable to Korean adolescents will need to be established with further studies.

Keywords : Criteria of dyslipidemia, Fasting lipid levels, Reference interval
서론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여전히 높다[1, 2]. 그 위험인자로 비만, 고혈압, 흡연, 이상지질혈증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한 여러가지 위험요인들이 소아청소년기에서부터 시작된다는 보고와 함께 그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3-6]. 소아청소년기의 이상지질혈증 유병율이 증가함에 따라[7] 이에 대한 조기발견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혈중 지질치는 소아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에 따라 연령과 성별에 따라 혈중 농도가 변화하므로[8, 9] 성인과 다른 진단 기준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단에 대한 기준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소아청소년기의 지질단백질 농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나[10, 11], 여러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 등 다양한 위험 질환에 따라 기준이 다양하게 제시되었고 국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준범위와 관련한 대규모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단위의 대규모 조사자료를 근거로 10∼19세 소아청소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공복 혈청 지질 농도의 분포를 살펴보고, 참고 범위 설정을 위한 백분위수 값을 검토하여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과 비교해 봄으로써 참고범위의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4년에 걸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0세 이상 20세 미만 연령의 소아청소년 총 3,522명(남아 1,851명, 여아 1,671명) 중 혈중 지질 측정치 누락자와 공복 8시간 미충족자, Friedwald 공식 적용 제외 범위인 중성지방 수치가 400 mg/dL 이상인 자, 이상지질혈증 치료 중 인자를 제외한 총 2,711명(남자 1,436명, 여자 1,275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동 기간 동안 수행된 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승인번호: 2013-07CON-03-4C, 2013-12EXP- 03-5C).

2. 연구 방법

혈액 검사 결과는 8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를 유지한 대상자들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측정 시약 및 방법은 총콜레스테롤의 경우, Pureauto SCHO-N, HDL (high-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Cholestest N HDL, LDL (low-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Cholestest LDL,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은 Pureauto S TG-N (Daiichi Pure Chemical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사용하여 효소법으로 측정하였고, 측정 장비는 Hitachi 7600 및 7600-210 (Hitachi high-technologies Co., Tokyo, Japan) 자동화학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HDL 콜레스테롤 측정치는 가장 최근에 수정 보완된 전환식 적용 자료(2013∼2014년의 경우 HDL 원자료×0.952)+ 1.096, 2015∼2016년의 경우 HDL 원자료×1.010)−3.172)를 사용하고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는 Friedwald 공식을 이용한 LDL 콜레스테롤의 계산법(calculated L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triglyceride/5)을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산출된 값을 이용하였다. Non-HDL 콜레스테롤은 총콜레스테롤 수치와 HDL 콜레스테롤 수치의 차로 산출된 값을 적용하였다.

3. 통계 분석

본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공복 혈중 지질 농도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연령별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SD), 표준오차(SE)에 대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각각 검진 가중치가 반영된 값을 나타내었다. 참고범위 설정을 위한 백분위수 산정 시 사분위수를 바탕으로 box-plot을 이용하여 whisker에 해당하는 상한치와 하한치를 정하여 이보다 바깥쪽에 존재하는 이상값을 제외한 후, 연령별 각 지질 지표의 백분위수를 2.5백분위수(2.5th percentiles)에서 97.5백분위수(97.5th percentiles)까지 구간별로 나누어 구하였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 (IBM, NY, USA)을 사용하였다.

결과

1. 공복 총콜레스테롤 평균 농도

성별에 따른 공복 혈중 농도의 비교에서 남아 대상자 1,424명의 평균 농도는 156.1 mg/dL, 여아 대상자 1,261명의 농도는 164.8 mg/dL 로 여아의 평균치가 남아보다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농도 비교에서 10세 남아의 평균은 171.1 mg/dL, 여아의 평균은 171.0 mg/dL으로 평균 농도는 남녀 모두 10세에서 가장 높았다. 2.5백분위수와 97.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범위는 남아 110∼209 mg/dL, 여아 120∼218 mg/dL였고,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농도는 남아 200 mg/dL, 여아 208 mg/dL 였다(Tables 1, 2) (Figure 1A, 1B).

Distribution of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the percentile based on age groups in boys

AgeUnweighted NMedianMeanSDSEPercentile

2.5510255075909597.5
Total cholesterol(mg/dL)
 10134172171.122.92.1131135138156172184203212220
 11163163163.823.11.9116122134147163179194204218
 12133152156.523.52.2120127132139152171191201205
 13171147148.621.81.8109117124135147161178187199
 14149151151.924.22.1106115122135151168188194202
 15154149150.427.02.3101110119132149169183205213
 16125152152.522.32.1111116125135152169182189198
 17138148150.123.92.1111115121132148166183193207
 18130158155.825.02.5105117121138158172188199205
 19127164165.624.62.4116122132151164185197210218
 total1,424155156.125.00.7110117124138155173189200209
LDL cholesterol (mg/dL)
 1013199.196.319.91.96164698199109123130135
 1116292.293.620.41.75663718092109122129136
 1213283.286.920.42.05258627383100116127133
 1317180.681.518.61.5425461688194103114123
 1414884.185.220.11.8495162698497112119122
 1515383.383.522.51.9465054668396114126128
 1612385.385.819.11.9465461738599112119124
 1713783.084.720.01.9475560728398107122128
 1813088.088.221.62.15052617288105117123133
 1912592.093.521.02.15357677992109121131142
 total1,41286.787.621.00.65054617387101117123130
HDL cholesterol (mg/dL)
 1012755.455.78.80.9374244505563677074
 1115752.452.99.80.9343641465260657275
 1213151.652.510.11.0353740455259667374
 1317049.450.59.60.8343638444957646872
 1415047.749.39.00.7343538434855626970
 1515547.348.38.50.7313439424754606265
 1612546.848.28.80.8353638414753596768
 1713948.748.47.80.7333738424952586366
 1813349.750.08.90.8343739435056616470
 1912950.654.59.20.8343640445157636974
 total1,41649.750.49.30.3343639435056636771
Non-HDL cholesterol (mg/dL)
 10133113.7113.422.02.072798399114126145154157
 11163106.7109.622.71.970758394107125141152166
 1213499.7102.922.92.163727786100118136146149
 1317096.397.720.91.85968738496107126139145
 14149100.8102.623.32.065677586101117133142150
 15152100.3100.924.92.260666884100117135147159
 16123102.6103.621.52.167707793103117137140151
 1713898.7101.623.32.16570748699116137143157
 18131105.5106.424.42.364707589106125140145165
 19126112.7114.224.12.371768498113131147157169
 total1,419103.1105.223.70.765707689103121139148157
Triglyceride (mg/dL)
 101245966.632.22.8192934455980110142161
 111576470.733.22.7283137446486123137160
 121316870.328.92.6293033496890126136153
 131636976.936.42.82730354669103129147160
 141476776.934.82.8333441516796138150167
 151467379.536.32.82934385373101143154163
 161207782.935.53.02936425677100129162171
 171297174.627.82.6334246527197121149163
 181277582.832.92.73944505575104131148171
 191168586.333.13.12839486185105128149169
 total1,3607177.633.80.9293439527198128147164

Distribution of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the percentile based on age groups in girls

AgeUnweighted NMedianMeanSDSEPercentile

2.5510255075909597.5
Total cholesterol (mg/dL)
 10101173171.024.72.5123125140152173190202206219
 11122160162.025.62.3118123127142160179195206216
 12125162165.725.42.2117125133151162182207210219
 13138161161.724.82.2109124130144161176192209213
 14136164163.225.82.2117124130144164179199208220
 15129157160.923.92.3121125133146157174193205223
 16134165166.923.22.0123126140152165183196208214
 17139160160.024.32.0109122128142160178191195205
 18105166167.323.52.3119129140152166183196213218
 19132168169.225.72.1123128134149168188203214227
 total1,261164164.824.90.7120125132148164182198208218
LDL cholesterol (mg/dL)
 1010098.998.721.12.16061728299115129131134
 1112187.589.521.92.04959667288103120127130
 1212490.593.522.12.05156678091110126134137
 1313891.491.321.01.84860647591104119123134
 1413693.593.322.91.94553647994109124134138
 1512990.992.321.12.05560667991106122131138
 1613496.197.620.81.86064698396114124133141
 1713991.591.120.61.75258657792109118125129
 1810593.595.419.11.96166738294108122131133
 1913091.895.421.81.95962688292113126131134
 total1,25692.293.821.40.65460677992108123131135
HDL cholesterol (mg/dL)
 1010052.452.98.90.9363841475258657072
 1112252.452.49.00.8343940475257656871
 1212853.453.69.80.9363841475362667174
 1314052.552.510.20.9343638455359657275
 1413752.552.710.10.9373741445360677374
 1513152.452.39.60.8363739455260656771
 1613853.553.89.20.8373942475459666974
 1713852.553.510.00.9333840475362687073
 1810553.555.210.31.0373842475463707477
 1913156.456.89.70.8374244505664707576
 total1,27053.453.79.80.3363841475361677174
Non-HDL cholesterol (mg/dL)
 10101118.8117.923.12.3717787103119133147153170
 11120106.4108.524.42.266717891106127144149155
 12124108.6111.522.52.070738499109129143149156
 13138108.6109.322.82.069748494109125144151156
 14135110.1109.823.32.063658094110123141150158
 15129106.8108.324.02.366708092107124140150165
 16134111.6113.121.61.971768998112129140148152
 17138103.6105.621.31.858737892104122132136144
 18105111.7111.820.82.170778698112125145149152
 19131107.5110.723.42.073768395108128144146147
 total1,255108.8110.422.90.668748295109127141149156
Triglyceride (mg/dL)
 10958485.435.03.83133415684105133156163
 111158585.432.53.03538445885107131145158
 121217681.030.93.0334045557697127144158
 131327982.832.52.73438465879102131145162
 141287579.029.42.9373944547593117136146
 151247174.730.22.8293339507193121125134
 161367377.530.72.72934405573103121133137
 171366770.126.62.3323440496786108117138
 181047280.532.13.1323846577298134147158
 191286975.929.12.7373944566988116142150
 total1,2197378.531.00.9333742547397123139150

Fig. 1.

Percentile curves for concentrations of fasting blood lipid. The 2.5th, 5th, 10th, 50th, 90th, 95th, 97.5th percentile curves for total cholesterol in boys (A) and girls (B); for LDL cholesterol in boys (C) and girls (D); for HDL cholesterol in boys (E) and girls (F); for nonHDL cholesterol in boys (G) and girls (H); for triglyceride in boys (I) and girls (J), respectively.


2. 공복 LDL 콜레스테롤 평균 농도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아의 평균 농도는 87.6 mg/dL, 여아의 평균 농도는 93.8 mg/dL로 여아의 평균치가 남아보다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농도 비교에서 10세 남아의 평균은 96.3 mg/dL, 여아의 평균은 98.7 mg/dL로 평균 농도는 남녀 모두 10세에서 가장 높고 13∼15세까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5백분위수와 97.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범위는 남아 50∼130 mg/dL, 여아 54∼135 mg/dL였고,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농도는 남아 123 mg/dL, 여아 131 mg/dL 였다(Tables 1, 2) (Figure 1C, 1D).

3. 공복 HDL 콜레스테롤 평균 농도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아의 평균 농도는 50.4 mg/dL, 여아의 평균 농도는 53.7 mg/dL로 남아의 평균치가 여아보다 더 낮았다. 연령에 따른 농도 비교에서 10세 남아의 평균은 55.7 mg/dL로 가장 높다가 15∼17세에 가장 낮아진 후 다시 증가하였고, 여아의 경우 10∼15세에 걸쳐 비슷한 분포를 보이다가 점점 상승하여 19세에 평균 56.8 mg/dL 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5백분위수, 10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농도는 각각 남아 36 mg/dL, 39 mg/dL, 여아 38 mg/dL, 41 mg/dL 였다(Tables 1, 2) (Figure 1E, 1F).

4. 공복 non-HDL 콜레스테롤 평균 농도

Non-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아의 평균 농도는 105.2 mg/dL, 여아의 평균 농도는 110.4 mg/dL로 여아의 평균치가 남아보다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농도 비교에서 10세 남아의 평균은 113.4 mg/dL로 높은 상태에서 12∼17세에 다소 낮아진 후 유지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19세에 평균 114.2 mg/d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10세에서 117.9 mg/dL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이다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평균 non-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남아 148 mg/dL, 여아 149 mg/dL 였다(Tables 1, 2) (Figure 1G, 1H).

5. 공복 중성지방 평균 농도

중성지방의 경우 남아의 평균 농도는 77.6 mg/dL, 여아의 평균 농도는 78.5 mg/dL로 여아의 평균치가 남아보다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농도 비교에서 10세 남아의 평균은 66.6 mg/dL로 가장 낮은 상태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9세에 평균 86.3 mg/d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10세에서 85.4 mg/dL로 가장 높았으며 17세에 70.1 mg/d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농도는 남아 147 mg/dL, 여아 139 mg/dL 였다(Tables 1, 2) (Fig 1I, 1J).

고찰

이상지질혈증은 대부분 총콜레스테롤 증가, LDL 콜레스테롤 증가,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이 증가된 결과로 나타난다. 소아청소년에서 진단의 기준은 미국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에서 제시한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200 mg/dL 이상,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130 mg/dL이상으로 간주하며 이는 지질 측정치 분포에서 95백분위수 이상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었다[12]. 이와 함께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심혈관질환 위험과 관련 있는 소아청소년의 참고치는 HDL 콜레스테롤 <40∼45 mg/dL, 소아의 중성지방 >130 mg/dL (1.47 mmol/L), 청소년의 중성지방 >150 mg/dL (1.7 mmol/L)의 기준을 제시하였다[13, 14].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준 중에 하나인 지질동맥경화학회의 소아청소년의 기준은 미국소아과학회 기준과 동일한데, 실제 소아청소년의 혈중 지질 농도의 분포를 통해 이에 대한 타당성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높았고, 이는 소아청소년 대상의 여러 연구에서 비슷한 양상이었다[15-17]. 2007∼2013년 한국 소아 청소년 대상의 연구에서도 모든 지질 지표의 평균은 여아에서 더 높았으며, 중성지방의 경우 남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농도도 증가하고, 여아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도 동일하였다[15]. 8세에서 18세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2006년에서 2013년까지 행해진 네덜란드 라이프라인 코호트 연구에서도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경우 모두 남아 보다 여아에서 평균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16], 6세∼19세 대상으로 한 2010∼2015년의 북유럽 연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17]. 이는 성호르몬과의 연관성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터키 어린이와 청소년에서는 낮은 HDL-콜레스테롤 수치의 중요한 예측 인자라고 보고하였다[18, 19]. 특히 지질 혈중 지표 중 공복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중성지방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L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동맥경화성 지단백을 포함하며 계산이 간편한 non-HDL 콜레스테롤의 측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20], 본 연구에서 non-HDL 콜레스테롤 또한 남아보다 여아에서 평균 농도가 높았고, 여아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도 터키의 소아청소년과 동일한 양상이었다[21]. 일본의 경우에도 평균 농도의 분포는 유사하였고 95백분위 수가 약 150 mg/dL 이었으며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므로 참고 범위의 관리가 죽상동맥경화증 예방과 관련하여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22].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값은 남아의 경우 200 mg/dL로 95백분위수와 일치하는 수준이었고, 여아의 경우 208 mg/dL로 나타나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기준은 남녀 모두 90∼95백분위수 사이에 해당하였다. 2007년∼2010년 자료를 대상으로 한 소아청소년에서 90백분위수는 남아의 경우 192 mg/dL, 여아의 경우 195 mg/dL였으나[23], 2013∼2016년에 해당하는 본 연구에서 남아의 경우 189 mg/dL로 낮아진 반면, 여아의 경우 198 mg/dL로 높아져 여아의 콜레스테롤 농도 상승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LDL 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95백분위수는 남아의 경우 각각 123, 148, 147 mg/dL였으며, 여아의 경우 각각 131, 149, 139 mg/dL였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준인 LDL 콜레스테롤 130 mg/dL 는 여아에서는 적절하다고 여겨지나, 남아에서는 95백분위수가 123 mg/dL 으로 나타났고, 130 mg/dL에 해당하는 기준은 남아 19세의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Non-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아와 여아 모두 90∼95백분위수 범위 내의 적절한 수준에서 관찰되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소아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130 또는 150 mg/dL의 기준은 한국 남자 청소년에서는 90∼95백분위수에 해당하였으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 감소를 보였던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다소 높은 기준이라 판단되었다. HDL 콜레스테롤의 5∼10백분위수는 남아의 경우 36∼39 mg/dL, 여아의 경우 38∼41 mg/dL였는데 <40 mg/dL에 해당하는 기준은 10백분위수에 해당하며 2007년∼2010년 대상의 연구 결과와 거의 유사하였다[23].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공복 혈청 지질 농도의 분포를 살펴보면서 백분위수 값과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을 비교해봄으로써 참고범위 및 진단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연구는 국가별로 많이 진행되어 왔고 생애 주기 중에서 소아청소년기의 공통된 특성이 상당부분 나타났지만, 성별과 연령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준을 사용하면 조기 발견을 놓치거나 과잉 진료를 하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건강한 체중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인구 기준에 맞는 백분위수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기준 곡선을 만들려는 시도도 행해졌는데[24], 우리나라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4개년도에 걸친 연구자료를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아청소년의 성별과 각 연령군에서 참고범위를 설정하기에는 대상자 수가 작은 연령군이 있어 참고범위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그로 인해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지는 못해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향후 연구대상자 및 자료를 보완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우리 실정에 좀 더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면 이상지질혈증 조기 진단을 위한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

소아청소년기의 이상지질혈증 유병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조기발견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공복 혈청 지질 농도의 분포를 살펴보고, 참고 범위 설정을 위한 백분위수 값을 검토하여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과 비교해 봄으로써 참고범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4년에 걸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10세 이상 20세 미만 연령의 소아청소년 총 2,711명(남자 1,436명, 여자 1,275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평균 공복 혈중 농도는 모두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높았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95백분위수에 해당하는 값은 남아의 경우 200 mg/dL로 95백분위수와 일치하는 수준이었고, 여아의 경우 208 mg/dL로 나타나 90∼95백분위수 사이에 해당하였다. LDL 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95백분위수는 남아의 경우 각각 123, 148, 147 mg/dL였으며, 여아의 경우 각각 131, 149, 139 mg/dL였다. 대부분의 지표는 90∼95백분위수 범위 내의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LDL 콜레스테롤 130 mg/dL 기준은 남아에서, 중성지방의 기준은 여아에서 다소 높은 수준이라 판단되었다. 향후 연구대상자 및 자료를 보완하여 우리 실정에 좀 더 적합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Online publications of Korea Statistical Yearbooks are provided on the KOSIS [Internet] 2016.
    Available from: http://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 cited 2018 June 10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4 severe disease statistics [Internet] 2017.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OecdInfo.do [cited 2018 June 10]
  3. Berenson GS, Srinivasan SR, Bao W, Newman WP, Tracy RE, and Wattigney WA. Association between multipl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atherosclerosi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 Bogalusa Heart Study. N Engl J Med 1998;338:1650-1656.
    Pubmed CrossRef
  4. Daniels SR, and Greer FR. Lipid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childhood. Pediatrics 2008;122:198-208.
    Pubmed CrossRef
  5. Fuentes RM, Notkola IL, Shemeikka S, Tuomilehto J, and Nissinen A. Tracking of serum total cholesterol during childhood: an 8-year follow-up population-based family study in eastern Finland. Acta Paediatr 2003;92:420-424.
    Pubmed CrossRef
  6. Hong YM.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beginning in childhood. Korean Circ J 2010;40:1-9.
    Pubmed KoreaMed CrossRef
  7. Nguyen DT, Kit BK, and Carroll MD. Abnormal cholesterol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2011-2014. NCHS Data Brief 2015;228:1-8.
  8. Freedman DS, Bowman BA, Srinivasan SR, Berenson GS, and Otvos JD. Distribution and correlates of high-density lipoprotein subclass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Metabolism 2001;50:370-376.
    Pubmed CrossRef
  9. Srinivasan SR, Myers L, and Berenson GS. Distribution and correlates of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children: the Bogalusa Heart Study. Pediatrics 2002;110:e29.
    Pubmed CrossRef
  10. Jolliffe CJ, and Janssen I. Distribution of lipoproteins by age and gender in adolescents. Circulation 2006;114:1056-1062.
    Pubmed CrossRef
  11. Strand MF, Fredriksen PM, Hjelle OP, and Lindberg M. Reference intervals for serum lipids and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6-12-year-old children: The Health Oriented Pedagogical Project (HOPP). Scand J Public Health 2018;46:21-27.
    Pubmed CrossRef
  12.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Highlights for the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blood cholesterol leve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1992 p. 495-501.
    Pubmed
  13. Kavey RE, Daniels SR, Lauer RM, Atkins DL, Hayman LL, and Taubert K. American Heart Associaion guidelines for primary prevention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beginning in childhood. Circulation 2003;107:1562-1566.
    Pubmed CrossRef
  14. Gidding SS, Lichtenstein AH, Faith MS, Karpyn A, Mennella JA, and Popkin B et al. Implementing American Heart Association pediatric and adult nutrition guideline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of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council on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council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and council for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Circulation 2009;119:1161-1175.
    Pubmed CrossRef
  15. Shim YS, Baek JW, Kang MJ, Oh YJ, Yang S, and Hwang IT. Reference values for the triglyceride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and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13. J Atheroscler Thromb 2016;23:1334-1344.
    Pubmed KoreaMed CrossRef
  16. Pediatric lipid reference values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Dutch lifelines cohort study. J Clin Lipidol 2018. https://doi.org/10.1016/j.jacl.2018.05.011. [Epub ahead of print]
    CrossRef
  17. Nielsen TRH, Lausten-Thomsen U, Fonvig CE, Bøjsøe C, Pedersen L, and Bratholm PS et al. Dyslipidemia and reference values for fasting plasma lipid concentrations in Danish/North- European White children and adolescents. BMC Pediatr 2017;17:116.
    Pubmed KoreaMed CrossRef
  18. de Oya I, Schoppen S, Lasuncion MA, Lopez-Simon L, Riestra P, and de Oya M et al.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and its features in adolescents. Pediatric Diabetes 2010;11:188-194.
    Pubmed CrossRef
  19. Agirbasli M, Agaoglu NB, Orak N, Caglioz H, Ocek T, and Karabag T et al. Sex hormones, insulin resistance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children. Horm Res Paediatr 2010;73:166-174.
    Pubmed CrossRef
  20. Virani SS. Non-HDL Cholesterol as a metric of good quality of care. Tex Heart Inst J 2011;38:160-162.
    Pubmed KoreaMed
  21. Uçar B, Kiliç Z, Dinleyici EC, Colak O, and Güneş E. Serum lipid profiles including non-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Turkish school-children. Anadolu Kardiyol Derg 2007;7:415-420.
    Pubmed
  22. Abe Y, Okada T, Sugiura R, Yamauchi K, and Murata M. Reference ranges for the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Japa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 Atheroscler Thromb 2015;22:669-675.
    Pubmed CrossRef
  23. Kim SH, Ahn BC, Joung HJ, and Park MJ. Lipid profiles and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 Korean adolescents. Endocrinol Metab 2012;27:208-216.
    CrossRef
  24. Skinner AC, Steiner MJ, Chung AE, and Perrin EM. Cholesterol curves to identify population norms by age and sex in healthy weight children. Clin Pediatr (Phila) 2012;51:233-237.
    Pubmed Korea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