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은 숨을 쉴 때 기관지 내에서 일어나는 과민반응으로, 기도점막이 부어 오르거나 기관지가 좁아져서 천명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호흡기질환이다[1]. 천식의 요인으로는 가족력, 환경 요인, 알레르기, 영양 상태, 경제적 상태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천식의 국내 성인 유병률은 3.9%, 소아 유병률은 5∼9%로 아동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3].
천식환자 중 약 3.6∼10%의 중증 환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의 효과가 미미하여 경증-중등증 천식환자에 비해 약제의 사용이 많고, 전체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비용의 50% 이상을 사용한다[4]. 현재 천식의 치료제로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A2 억제 및 IL (Interleukin)-1, 2, 3, 6이나 TNF-α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방출을 억제하여 Th1 (T helper type1)과 Th2 (T helper type2)를 조절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피부위축, 모세혈관확장, 피부궤양, 색소 변화, 감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5-7]. 따라서 천식을 미리 예방하고 조기 진단하여 중증으로 가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병 예방 측면에서 특정 질병에 대한 유전자가 가지는 위험도를 분석하여 질병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식과 유전적 관련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천식의 유전적 소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식의 유전적 소인에 대한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GST (Glutathione S-transferase)와 MCP-1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등이 천식과 관련된 유전적 다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9]. GST는 염증의 주요 구성 요소인 산화 스트레스 산물의 기질을 활용하는 능력을 통해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GTS에 이상이 생기면 ROS 해독에 결함이 생기므로 천식의 발병과 중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CP-1은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켜 기도로 leukotriene C4가 분비되도록 하여 기도 과민성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천식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경로는 세포 외부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세포 내에 신호를 전달하여 다양한 세포 내 반응을 조절한다. MAPK 경로의 subfamily에는 ERK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JNK (c-Jun N-terminal kinases) 그리고 p38 등이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모든 MAPK는 기질을 인산화 시키는 공통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다[10]. 특히, ERK 경로는 핵의 전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백질과 효소 등의 기능을 조절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11]. ERK 경로가 활성화 될 경우, JunB 단백질이 상향 조절된다[12]. JunB 단백질은 선택적으로 Th2 세포 증식을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Th2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13]. Th 세포는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1과 Th2가 있으며,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은 Th1과 Th2 사이의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Th1세포의 면역반응이 증가할 경우 자가면역 질환이 발생하게 되며, Th2세포의 면역반응이 활발해지면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이 나타나게 된다[14]. 따라서 천식은 근본적으로 Th2 세포 매개 염증 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그러므로 현재 MAPK 활성화 억제제를 이용하여 Th2 세포의 발현을 감소시켜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5]. 본 연구의 주제인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2001년부터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역학 코호트 사업인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 사업의 KARE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17]. KARE는 경기도 안성과 안산 지역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국인 유전체 코호트로 한국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만성 질환의 발병 요인을 규명하여 예방의학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구축되었다. 이 코호트는 40세에서 69세의 남녀로 구성되었으며 10,038명을 선정하여 기초조사 및 2년마다 추적조사를 하였다. 본 코호트의 그룹 선정은 설문을 근거로 진행되었으며, 과거에 의사에게 천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193명을 천식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천식 외 기타질환(고혈압, 당뇨병, 알레르기 질환, 심근경색, 갑상선 질환, 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고지혈증, 만성 폐 질환, 말초혈관질환, 신장질환, 종양, 뇌혈관 질환, 두부 외상, 요로 감염 및 통풍 등)으로 진단되지 않은 3,228명을 건강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천식 환자군의 평균 나이는 55.21±8.64세이며, 건강 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51.04±8.80세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1).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유전 정보는 호서대학교에서 연구윤리 승인을 받은 후 분석을 수행하였다(1041231-210223-BR-120-02).
Asthma cases and controls in the KARE cohort
Characteristics | Controls | Asthma | |
---|---|---|---|
Number of subjects | 3,228 | 193 | - |
Sex (male [%]/female [%]) | 1,638 (50.7)/1,590 (49.3) | 70 (36.3)/123 (63.7) | <0.001 |
Age (M years±s.d.) | 51.04±8.80 | 55.28±8.64 | <0.001 |
Abbreviations: KARE, Korean Association REsource; M, mean value; s.d., standard deviation.
이번 연구에서는 KARE 유전 자료를 기반으로 천식과 관련된 SNP을 선별하였다. DNA 시료는 연구 참여자의 말초 혈액에서 분리 추출하였으며,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array 5.0 (Affymetrix, Inc.,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여 유전형 판독을 하였다. 유전형 판독 정확도가 98% 이하이거나, 4% 이상의 높은 missing genotype call rate를 나타내거나, 30% 초과의 heterozygosity를 가지거나,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대상자들은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는
유전형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로, Regulome DB (http://www.regulomedb.org/index)를 사용하여 해당 유전자 영역의 SNP가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Regulome DB는 gene expression omnibus와 encyclopedia of DNA elements 프로젝트 등의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전적 변이가 전사 인자 결합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점수화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두 번째로 GTExPortal (genotype-tissue expression; https://gtexportal.org/home/)를 이용하여 유전형에 따른 유전자 발현량의 증가 혹은 감소를 알아보았다. GTEx Portal은 54개의 비분리 조직 부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전자변이, 유전자 발현, eQTL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us) 및 조직학적 이미지를 정리한 사이트로 유전적 변이에 따른 유전자 발현량의 증가 또는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INK version 1.07 (http://pngu.mgh.harvard.edu/∼purcell/plink)과 PASW Statistic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13번 염색체에 위치한
The associated SNPs (
Gene | Chr | No. | SNP | BP | Function | A1 | A2 | MAF | OR (95% CI) | ||
---|---|---|---|---|---|---|---|---|---|---|---|
Case (N=193) |
Control (N=3,228) |
||||||||||
13 | G1 | rs17071545 | 78988115 | Intronic | A | G | 0.166 | 0.107 | 1.61 (1.21∼2.13) | 9.00×10−4 | |
G2 | rs1475797 | 78991826 | Intronic | A | C | 0.288 | 0.201 | 1.58 (1.25∼2.00) | 1.05×10−4 | ||
G3 | rs2783122 | 79001279 | Intronic | G | A | 0.316 | 0.218 | 1.67 (1.33∼2.10) | 9.76×10−6 | ||
G4 | rs1408049 | 79011653 | Intronic | G | C | 0.314 | 0.218 | 1.66 (1.32∼2.09) | 1.33×10−5 | ||
I1 | rs7990344 | 78957081 | Intronic | C | T | 0.303 | 0.216 | 1.59 (1.26∼2.00) | 9.53×10−5 | ||
I2 | rs8002042 | 78958688 | Intronic | A | G | 0.286 | 0.209 | 1.52 (1.203∼1.93) | 4.75×10−4 | ||
I3 | rs1577418 | 78959508 | Intronic | A | C | 0.303 | 0.216 | 1.59 (1.26∼2.00) | 9.53×10−5 | ||
I4 | rs17071512 | 78960018 | Intronic | C | T | 0.159 | 0.103 | 1.57 (1.182∼2.11) | 2.00×10−3 | ||
I5 | rs1335370 | 78960767 | Intronic | T | A | 0.303 | 0.216 | 1.59 (1.26∼2.00) | 9.53×10−5 | ||
I6 | rs6563113 | 78962136 | Intronic | G | A | 0.286 | 0.209 | 1.52 (1.203∼1.93) | 4.75×10−4 | ||
I7 | rs1335368 | 78974432 | Intronic | A | G | 0.308 | 0.219 | 1.60 (1.277∼2.02) | 5.54×10−5 | ||
I8 | rs9565510 | 78982351 | Intronic | G | A | 0.312 | 0.219 | 1.62 (1.294∼2.04) | 3.22×10−5 | ||
I9 | rs7339303 | 78988866 | Intronic | A | G | 0.294 | 0.212 | 1.56 (1.238∼1.97) | 1.74×10−4 | ||
I10 | rs9574434 | 78993542 | Intronic | C | T | 0.313 | 0.220 | 1.62 (1.293∼2.04) | 3.22×10−5 | ||
I11 | rs2760106 | 78996990 | Intronic | C | A | 0.313 | 0.218 | 1.64 (1.307∼2.06) | 2.16×10−5 | ||
I12 | rs2783119 | 78997119 | Intronic | A | G | 0.295 | 0.211 | 1.58 (1.253∼1.99) | 1.11×10−4 | ||
I13 | rs2783121 | 79001230 | Intronic | T | C | 0.270 | 0.189 | 1.60 (1.245∼2.06) | 2.53×10−4 | ||
I14 | rs2760105 | 79007868 | Intronic | G | A | 0.297 | 0.210 | 1.59 (1.266∼2.01) | 7.94×10−5 | ||
I15 | rs987284 | 79021985 | intronic | C | A | 0.314 | 0.218 | 1.65 (1.317∼2.08) | 1.58×10−5 | ||
I16 | rs1212082 | 79024769 | 3_UTR | A | G | 0.293 | 0.209 | 1.58 (1.254∼2.00) | 1.16×10−4 |
Residential area, age, and sex were included as covariates in this study.
Abbreviations: Chr, chromosome; BP, base pair; A1, minor allele; A2, major allele; MAF, minor allele frequency;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G of No., genotyped SNP’s number; I of No., imputed SNP’s number.
웹 기반 프로그램인 Locuszoom version 1.1 (http://csg. sph.umich.edu/locuszoom)을 이용하여
Regulome DB와 GTEx Portal을 이용하여 SNP의 유전형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Regulome DB 분석 결과 3a 이상의 유의미한 score를 기록한
Result of the regulome DB with SNPs in the
Gene | SNP | BP | A1 | A2 | Regulome | ||||
---|---|---|---|---|---|---|---|---|---|
Score | TFBS | DNase | Proteins bound | Motifs | |||||
rs7990344 | 78957081 | C | T | 3a | + | + | TCF12, HNF4A, ATF3, POLR2A, FOSL2, SIN3A, CREB1, ASH2L, EP300 | TP73 | |
rs7339303 | 78988866 | A | G | 3a | + | + | GATA1, ZMYM3 | NANOG, RARA | |
rs1475797 | 78991826 | A | C | 3a | + | + | SPI1 | HOXA10, HOXA11, HOXA13, HOXC12, HOXC13, HOXD10, HOXD11, HOXD12, HOXD13, PDX1, POU2F1, POU2F2 | |
rs2783122 | 79001279 | G | A | 3a | + | + | ZSCAN5C, HEK293T, HEK293 | AIRE | |
rs1408049 | 79011653 | G | C | 3a | + | + | ZBTB17 | FOXD2 | |
rs987284 | 79021985 | C | A | 3a | + | + | ZNF189, GATA2, RCOR1, EP300, GATA3 | SPIC |
Abbreviations: BP, base pair; A1, minor allele; A2, major allele; TFBS,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site.
다음으로 GTEx Portal (https://gtexportal.org/home/)에서 SNP이 minor allele를 가질 경우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 혹은 감소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인 코호트를 이용하여
천식은 알레르기질환 중 유전학적으로 가장 연구가 많이 진행된 질병이다. 많은 유전자의 변이가 천식의 증상(기도과민성, 기관지 확장, 폐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23]. 본 연구에 앞서 KARE 코호트를 이용한 천식 GWAS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를 진행하였고,
이번 연구 결과,
현재 천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천식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천식에 대한 유전적 요소를 가진 환자를 통한 연구가 더욱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며, 본 연구를 통해 천식 환자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천식은 만성 염증성 기도 폐쇄 질환이다. 질병 발생 요인은 다양하며 특히,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천식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경로는 Th1/Th2의 균형을 조절하며, 천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PK 경로를 조절하는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bioresources from National Biobank of Korea,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KBN-2021-023).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isclose.
Choi EH, Under-graduate student; Hwang D,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