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 모기의 종류는 3,209여종으로 우리나라에선 54종의 모기가 보고되고 있다[1].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는 플라비비리데과(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생물학적 분류인 속(genus)을 지칭하고 플라비바이러스의 대표적인 종(species)으로는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및 세인트루이스 뇌염 바이러스(St. Louis ence-phalitis virus) 등이 포함된다[2, 3].
플라비바이러스의 숙주(host)는 모기와 사람이기 때문에, 플라비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사람이 물리게 되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최근 보고된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모기로부터 뿐만 아니라 수혈이나 성관계를 통해서도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4, 5].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의 아열대화, 온대화로 인해 지카 바이러스와 뎅기 바이러스의 숙주 모기인 흰줄 숲모기(
기후변화에 따라 매개체 발생 분포가 확대되어, 일본뇌염 등 국내 토착성 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여행 급증 및 국제교류 증가로 인하여 해외유입 모기 매개성 감염성질환(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웨스트나일열 등)의 유입가능성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모기매개 주요 감염병은 얼룩날개모기류(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권역거점센터를 운영중 전라북도 내 3개 지역(전주시, 군산시, 완주군) 도심과 철새도래지, 우사에서 모기를 채집하여 모기의 계절적 발생요인과 대표적인 모기로부터 매개되는 감염성 바이러스(일본뇌염바이러스, 황열바이러스, 뎅기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그리고 기타 플라비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하여, 모기매개 감염병에 대한 효율적인 유행예측 및 관리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북지역을 대상으로 2020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감염병 매개모기를 채집하기 위하여 관내 완주군 화산면(우사), 철새도래지는 전북 군산시 금강철새조망대, 도심지역은 전주시 덕진구청, 덕진공원 및 전북대학교 총 7개소를 정하고, 각 지점에 모기유인 및 채집을 위해 유문등(Black light trap)과 포충기(BG sentinel trap)을 설치한 후 일몰전부터 일출 전(저녁6시∼익일 오전 6시)까지 채집하였다. 축사는 주1회 채집하고 도심과 철새도래지는 월2회 모기를 채집하였다(Table 1).
Area and enviroment of collecting mosquitoes
Sites | Environments | Trapping method | Latitude and longitude |
---|---|---|---|
Barn | Cattle shed | BL | N36.001138°, E127.223671° |
Gentlemen toilet | Bird sanctuary | BL | N36.019929°, E126.765432° |
Reed forest of migratory bird sanctuary | BG | N36.019929°, E126.765432° | |
Women’s restroom | BL | N36.019929°, E126.765432° |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City | BL | N35.844434°, E127.129235° |
Deokjin-gu office | BL | N35.829629°, E127.134519° | |
Deokjin park | BG | N35.847955°, E127.121865° |
Abbreviations: BL, black light traps; BG, biogents’sentinel traps.
채집된 모기는 손상되지 않게 실험실로 가져와 분류 및 동정 전까지 냉동보관하였으며, 모기 종에 따른 형태학적 분류표를 기준으로 최종분류 및 동정을 실체현미경하(SZ61, Olympus, Japan)에서 관찰하였다[11, 12]. 채집된 모기의 채집지수(trap index, TI)는 채집된 모기수에 채집한 기간일과 트랩수로 나누어 지수를 구한다.
채집된 모기는 형태학적으로 분류 및 동정한 후 병원체 확인을 위하여 종별로 분리된 암컷 모기를 2 m 멸균 파쇄용 tube (MK28 PrecellysⓇ Lysing kits, Bertin Technologies SAS, Montigny-Le-Bretonneux, France)에 1∼50마리의 모기와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1.2 mL를 넣고 자동파쇄기(Precellys24, Bertin Technologies SAS)로 30초간 2번씩 5,000 rpm으로 파쇄한다. 이 후 tube를 꺼내 얼음에 5분 정치시켰다. 냉장원심분리기에 상기 tubes를 넣고, 4°C, 13,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분리하여 유전자를 추출하였다.
RNA 분리는 Clear-STM Total RNA extraction kit (Invirustech, Gwangju,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병원체 조사를 위한 PCR 수행은 flavivirus 검사를 위한 Clear-MDTM Flavivirus real-time RT-PCR detection kit (Invirustech, Gwangju, Korea) 사용 후 PCR을 하였다. 1차 반응액은 2x qRT-PCR Master mix Green 10 μL, Detection primer mix 2 μL, Template RNA 5 μL, Water 3 μL로 총량 20 μL가 되게 하여 잘 혼합하고 원심분리(spin-down)하여 Table 2 같은 조건에 따라 PCR을 수행한 후 증폭곡선 및 융해곡선을 양성대조군과 대조분석하여 판독하였다. 융해곡선에서 융해온도(Melting temperature) 80∼84°C 부근에서 관찰되지 않는 경우는 음성으로 판정하고, 양성일 경우는 도표와 같은 프라이머로 증폭 후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양성밴드를 확인하고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한다(Table 3).
Real time PCR conditions and melt curve program for diagnosis of flaviviruses
Cycle | Step | Temperature | Time |
---|---|---|---|
1 cycle | Reverse transcription | 50°C | 15 min |
Enzyme activation | 95°C | 10 min | |
40 cycles | Denaturation | 95°C | 10 sec |
Annealing | 60°C | 15 sec | |
Extension | 72°C | 10 sec | |
Signal reading | 80°C | 30 sec | |
1 cycle | Denaturation | 95°C | 30 sec |
1 cycle | Melting |
60∼95°C | 15 sec |
Cooling | 25°C | 30 min |
*Increase in temperature set at 0.5°C per cycle.
Primer sequence of 2nd PCR for diagnosis of flavivirus
Name | Sequence (5’ to 3’) |
---|---|
M13 Forward | TGTAAAACGACGGCCAGT |
M13 Reverse | CAGGAAACAGCTATGAC |
전체 채집 모기 개체수는 7속 15종으로 15,975마리가 채집되었다. 환경별로 완주 축사에서 9,116마리(Trap Index: TI. 506.4)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철새도래지, 전주도심의 순서로 채집되었다. 군산 철새도래지에서는 철새보호구역의 갈대숲에서는 3217마리(TI. 178.7), 남자화장실에서 356마리(TI. 19.7), 여자화장실에서 1,948마리(TI. 108.2) 채집되었다. 전주시내에서는 덕진공원에서 677마리(TI 37.6), 덕진구청에서 358마리(TI. 19.8), 전북대에서 303마리(TI. 16.8)가 채집되었다. 군산 철새도래지에서는 여자화장실, 전주 도심에서는 덕진공원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다(Table 4).
Total number of female mosquitoes collected and trap indices at cattle sheds, bird sanctuary and downtown with traps in Jeonbuk region
Locations | Trap | Number of females | Trap nights | Trap index | |
---|---|---|---|---|---|
Gunsan | Reed forest of migratory bird sanctuary | BG | 3,217 | 18 | 178.7 |
Gentlemen toilet | BL | 356 | 18 | 19.7 | |
Women’s restroom | BL | 1,948 | 18 | 108.2 | |
Wanju | Cowshed | BL | 9,116 | 18 | 506.4 |
Jeonju | Deokjin park | BG | 677 | 18 | 37.6 |
Deokjin-gu office | BL | 358 | 18 | 19.8 |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BL | 303 | 18 | 16.8 | |
Total | 15,975 | 126 | 126.7 |
종별로는 얼룩날개모기속류(
우점종을 나타내는
Total number of female mosquitoes collected at Jeonbuk region with black light trap and BG from Mar. to Nov. 2021
Collection species | Mar | Apr | May | Jun | Jul | Aug | Sep | Oct | Nov | Total |
---|---|---|---|---|---|---|---|---|---|---|
0 | 0 | 0 | 6 | 48 | 45 | 58 | 9 | 1 | 167 (1.1%) | |
0 | 0 | 0 | 0 | 1 | 0 | 2 | 0 | 0 | 3 (0%) | |
0 | 0 | 0 | 0 | 18 | 0 | 4 | 0 | 0 | 22 (0%) | |
0 | 0 | 4 | 440 | 455 | 74 | 213 | 3 | 0 | 1,189 (7.5%) | |
2 | 14 | 5 | 735 | 8,127 | 1,434 | 5 | 2 | 0 | 10,364 (64.9%) | |
0 | 0 | 0 | 3 | 17 | 145 | 173 | 173 | 5 | 516 (3.3%) | |
0 | 0 | 0 | 1 | 26 | 35 | 36 | 0 | 0 | 98 (0.6%) | |
0 | 0 | 0 | 22 | 33 | 6 | 20 | 2 | 0 | 83 (0.5%) | |
0 | 0 | 3 | 4 | 22 | 7 | 13 | 1 | 0 | 50 (0.3%) | |
2 | 36 | 214 | 397 | 479 | 575 | 683 | 101 | 85 | 2,572 (16.1%) | |
0 | 0 | 0 | 0 | 0 | 80 | 141 | 4 | 0 | 225 (1.4%) | |
0 | 0 | 0 | 317 | 54 | 108 | 125 | 0 | 0 | 604 (3.8%) | |
0 | 0 | 0 | 1 | 0 | 0 | 1 | 1 | 0 | 3 (0%) |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0%) | |
0 | 2 | 6 | 8 | 32 | 16 | 12 | 5 | 1 | 82 (0.5%) | |
Total | 4 | 52 | 228 | 1,935 | 9,312 | 2,525 | 1,526 | 301 | 92 | 15,975 (100%) |
Trap index I(TI) of female mosquitoes collected at Jeonbuk region with black light trap and BG from Mar. to Nov. 2021 (mosquitoes/night/trap)
Collection species | Mar | Apr | May | Jun | Jul | Aug | Sep | Oct | Nov | Trap index |
---|---|---|---|---|---|---|---|---|---|---|
0 | 0 | 0 | 0.4 | 3.4 | 3.2 | 4.1 | 0.6 | 0.1 | 11.9 | |
0 | 0 | 0.3 | 31.4 | 32.5 | 5.3 | 15.2 | 0.2 | 0 | 84.9 | |
0 | 0 | 0 | 0 | 0.1 | 0 | 0.1 | 0 | 0 | 0.2 | |
0 | 0 | 0 | 0 | 1.3 | 0 | 0.3 | 0 | 0 | 1.6 | |
0.1 | 1 | 0.4 | 52.5 | 580.5 | 102.4 | 3.2 | 0.1 | 0 | 740.3 | |
0 | 0 | 0 | 0.2 | 1.2 | 10.4 | 12.4 | 12.4 | 0.4 | 36.9 | |
0 | 0 | 0 | 0.1 | 1.9 | 2.5 | 2.6 | 0 | 0 | 7 | |
0 | 0 | 0.2 | 0.3 | 1.6 | 0.5 | 0.9 | 0.1 | 0 | 3.6 | |
0.1 | 2.6 | 15.3 | 28.4 | 34.2 | 41.1 | 48.8 | 7.2 | 6.1 | 183.7 | |
0 | 0 | 0 | 0 | 0 | 5.7 | 10.1 | 0.3 | 0 | 16.1 | |
0 | 0 | 0 | 1.6 | 2.4 | 0.4 | 1.4 | 0.1 | 0 | 5.9 | |
0 | 0 | 0 | 22.6 | 3.9 | 7.7 | 8.9 | 0 | 0 | 43.1 | |
0 | 0 | 0 | 0.1 | 0 | 0 | 0.1 | 0.1 | 0 | 0.2 | |
0 | 0.1 | 0.4 | 2.6 | 2.3 | 1.1 | 0.9 | 0.4 | 0.1 | 5.9 | |
0 | 0 | 0 | 0.1 | 0 | 0 | 0 | 0 | 0 | 0.1 | |
Trap index | 0.3 | 3.7 | 16.3 | 138 | 665 | 180 | 109 | 21.5 | 6.6 | 0 |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채집한 모기 15,975마리(527 pool)를 pooling하여 flavivirus 보유여부를 검사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Figure 1).
지구온난화 현상은 겨울철 월동모기나 모기 알의 생존율을 높여주는 요인이 되며 월동모기의 봄철 조기출현이 나타나게 되어 전보다 기후변화에 의한 매개질병이 조기 출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게 된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라 일본뇌염 매개모기와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많이 발생하는 수답의 생태계의 변화 등의 문제로 모기 개체수의 증가가 우려되어 왔다[13].
기후변화에 따라 매개체 발생 분포가 확대되어, 일본뇌염 등 국내 토착성 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여행 급증 및 국제교류 증가로 인하여 해외유입 모기 매개성 감염성질환(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웨스트나일열 등)의 유입가능성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14]. 뎅기열 유행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128개국 39억 명 인구가 뎅기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15].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북지역의 총 7개 지점에서 채집된 암컷 모기의 총수는 15,975마리로 총 7속 15종이었다. 12종 8,234마리가 채집된 2019년에 비해서 수도 증가하였고 종도 3종이 더 많이 분류되어 다양해졌다. 환경별로 완주 축사에서 9,116마리(Trap Index 506.4)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철새도래지, 전주 도심의 순서로 채집되었다. 군산 철새도래지에서는 여자화장실에서, 전주 도심에서는 덕진공원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다(Tables 4, 5). 2014년 전북지역에는 도심, 우사, 철새도래지순으로 채집되어 차이가 있었으나 2015년과 2019년에는 완주 축사에서 가장 높았고, 전주 도심 숲지역 덕진 공원에서 가장 높은 개체수가 채집되어 본 결과와 일치하였다. 도심지역인 전북대와 덕진구청의 경우 이번 결과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국민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 인해 주변정비사업과 집중적인 방역활동에 대한 영향으로 추측된다. 또한 축사는 TI. 50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모기 번식과 증식에 있어 소 사육이 모기에게 적극적인 흡혈활동을 하게 하므로 모기의 흡혈과 휴식습성이 특징을 파악하여 우사나 돈사와 같은 장소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감염병 발생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기적으로는 2019년도에는 7월, 6월, 8월 순으로 많이 채집되었으나 2021년도 전북지역에서 7월, 8월, 6월 순으로 채집되었다(Table 6). 이는 장마를 비롯한 기후변화 요인에 따른 현상으로 7월과 8월에 이상고온과 적은 강수량이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의 Table 5와 같이 모기 개체수로는
2019년도 전북지역 같은 지역조사결과에서도 우점종인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인
2020년 Jegal 등[16]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경기도 화성지역 우사와 인천지역 도시지역의 채집결과에 따르면
그리고 2015년 Kim 등[17]에 관한 조사에서도 금빛숲모기(
2019년 Seo 와 Chung [20]의 보고결과에서 보면 2018년 제주지역에 서식하는 모기 개체군 밀도와 분포를 보면 전체 채집된 모기 개체수는 6속 12종으로 1,847마리가 채집되었는데, 본 조사결과는 총 채집개체수가 15,975마리로 총 7속 15종이었다. 제주지역 채집된 모기의 종류에서는
이번에 채집된 모기를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에서 음성으로 나와 바이러스는 검출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자의 음성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일본뇌염모기인
이 조사는 전북지역에서 일본뇌염, 말라리아, 웨스트나일병, 지카바이러스, 황열의 매개체 모기에 대해 조사되었다.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2회 모기류를 채집하여 감염병 매개체 발생빈도와 병원체를 조사 감시한 결과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속 15종으로 15,975마리가 채집되었다. 환경별로 완주 축사에서 9,116마리(trap index: TI, 506.4)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철새도래지, 전주도심의 순서로 채집되었다. 군산 철새도래지에서는 철새보호구역의 갈대숲에서는 3217마리(TI, 178.7), 남자화장실에서 356마리(TI, 19.7), 여자화장실에서 1,948마리(TI, 108.2) 채집되었다. 전주시내에서는 덕진공원에서 677마리(TI, 37.6), 덕진구청에서 358마리(TI, 19.8), 전북대에서 303마리(TI, 16.8)가 채집되었다. 군산 철새도래지에서는 여자화장실, 전주 도심에서는 덕진공원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다. 병원체 검사 결과는 모두 음성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전북지역 모기에 의한 질병대책 전북지역 모기매개감염병에 대한 기초자료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was supported by fund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4851-304-320).
None
Park H, Professor; Kwon PS,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