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쯔쯔가무시증은 1951년 한국전쟁시 UN군에서 첫 발생보고를 시작으로[8] 1957년에는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권역거점센터를 운영중 매개체 털진드기의 종류와 계절적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채집기와 포획한 야생 설치류에서 털진드기를 채취하여 자연환경에서 개체 수 및 분포와
진안군 진안읍 일원에서 2020년 9월 첫주부터 12월 셋째주까지 주 1회씩 논(N35.747038°, E127.408416°), 밭(N35. 748473°, E127.424691°), 수로(N35.748038°, E127.418168°), 초지(N35.749746°, E127.413899°) 4지점에서 각각 5개씩 총 20개의 유인제가 포함된 채집기를 설치하여 채집된 털진드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16].
털진드기가 활동하기 시작하는 2020년 봄철(상반기) 3월 4주째, 4월 2주째와 가을철(하반기), 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진안군 백운면 일원에서 설치류가 서식할 만한 장소 주변으로 논(N35.392710°, E127.260140°), 수로(N35.395072°, E127. 245662°), 밭(N35.394901°, E127.245824°), 저수지(N35. 383350°, E127.267900°), 야산(N35.394758°, E127.245533°)에 각각 20개씩 Sherman collapsible trap (7.7×9×23 cm; H.B. Sherman, Tallahassee, FL, USA)을 5 m 정도 간격을 두고 100개의 trap을 설치해서 들쥐를 포획하였다[17]. 포획된 설치류는 다음날 아침(6∼8시)에 수거해서 trap 운반용 상자에 넣어 실험실로 이송하였다[17, 18].
마취제인 chloroform (Merck, NJ, USA)을 이용해서 흡입 마취시킨 뒤 설치류의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고[19] 또한 설치류의 성별, 몸무게, 머리와 몸통길이, 꼬리길이, 체장, 귀, 발길이를 측정하였다. 포획한 설치류의 털진드기 채집을 위해서 흡입 마취시킨 후 쥐 꼬리에 도구를 이용하여 거꾸로 매달아 놓고 그 밑에 증류수를 약 1 cm 정도 담은 플라스틱 용기를 2일간 놓아두어 용기에 떨어진 털진드기를 1차 회수하고 귀뒤, 생식기 주변, 항문 등에 남아있는 털진드기를 2차로 회수하여 실체현미경(Olympus SZ61, Tokyo, Japan)으로 확인하였다[17, 20]. 설치류 포획을 위해 설치한 전체 trap에서 채집된 들쥐 개체수를 나타내는 트랩 지수(Trap index, TI, 전체 채집 개체수/전체 트랩수)를 구하고, 포획한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개체수의 밀도를 나타내는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 채집된 털진드기 총 개체수/털진드기를 가지고 있는 들쥐 마리수)를 구하였다[21].
채집기와 포획한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한 마리씩 slide glass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PVA 포매용액(56% polyvinyle alcohol, 22% lactic acid, 22% phenol solution)을 적당량 떨어뜨린 후 해부침을 사용하여 등쪽이 위로 향하도록 한 다음 cover glass를 덮어 표본을 제작하였다[17]. 제작된 Slide glass는 알콜램프를 이용하여 비등점까지 순간 가열해서 털진드기 내부를 투명하게 함과 동시에 다리를 곧게 뻗치도록 하였다[17, 22]. 제작된 털진드기 표본은 광학현미경(Olympus CX23, Tokyo, Japan)을 이용 100배와 400배에서 Ree [20]의 검색표에 따라서 동정∙분류하였으며, 분류된 털진드기는 종별 정리하여 기록, 보관하였다.
채집기와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최대 50마리씩 pooling하여 PCR에 사용하였다. 검출방법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nested PCR을 시행하였고
Conditions for nested-PCR
Amplification conditions | Temperature | Time | Cycle | |
---|---|---|---|---|
1st PCR | Initial denaturation | 94°C | 5 min | 1 cycle |
Denaturation | 94°C | 30 sec | 40 cycle | |
Annealing | 58°C | 30 sec | ||
Extension | 72°C | 40 sec | ||
Final extension | 72°C | 5 min | 1 cycle | |
2nd PCR | Initial denaturation | 94°C | 5 min | 1 cycle |
Denaturation | 94°C | 30 sec | 35 cycle | |
Annealing | 58°C | 30 sec | ||
Extension | 72°C | 40 sec | ||
Final extension | 72°C | 5 min | 1 cycle |
진안군 진안읍에서 2020년 9월 1주부터 12월 3주까지 1주일에 한 번씩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서 채집기를 이용한 털진드기를 조사한 결과 전체 채집 개체 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시기별로는 9월 1주∼4주까지는 털진드기가 채집되지 않았으나, 9월 5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가 채집되었다(Figure 1).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
Number and types of chigger mites collected by environment using trap
M | W | Place | Total | |||||||
---|---|---|---|---|---|---|---|---|---|---|
N (%) | ||||||||||
9 | 1st∼4th | Rice field | 0 | |||||||
Field | ||||||||||
Waterway | ||||||||||
Grass field | ||||||||||
5th | Rice field | 2 (1.0) | ||||||||
Field | ||||||||||
Waterway | ||||||||||
Grass field | 2 | |||||||||
10 | 1st | Rice field | 0 | |||||||
Field | ||||||||||
Waterway | ||||||||||
Grass field | ||||||||||
2nd | Rice field | 2 (1.0) | ||||||||
Field | ||||||||||
Waterway | ||||||||||
Grass field | 2 | |||||||||
3rd | Rice field | 1 (0.5) | ||||||||
Field | 1 | |||||||||
Waterway | ||||||||||
Grass field | ||||||||||
4th | Rice field | 1 | 20 (9.7) | |||||||
Field | 3 | 1 | ||||||||
Waterway | 1 | 4 | ||||||||
Grass field | 1 | 2 | 1 | 6 | ||||||
11 | 1st | Rice field | 2 | 1 | 21 (10.1) | |||||
Field | ||||||||||
Waterway | 1 | 4 | 2 | |||||||
Grass field | 11 | |||||||||
2nd | Rice field | 1 | 3 | 1 | 27 (13.0) | |||||
Field | 4 | 1 | ||||||||
Waterway | 1 | 5 | 3 | |||||||
Grass field | 2 | 6 | ||||||||
3rd | Rice field | 4 | 3 | 8 | 49 (23.7) | |||||
Field | 3 | 1 | ||||||||
Waterway | 11 | 9 | ||||||||
Grass field | 1 | 3 | 2 | 3 | 1 | |||||
4th | Rice field | 1 | 7 | 7 | 38 (18.4) | |||||
Field | 4 | |||||||||
Waterway | 2 | 2 | ||||||||
Grass field | 7 | 1 | 3 | 2 | 2 | |||||
12 | 1st | Rice field | 2 | 5 | 19 (9.2) | |||||
Field | 4 | 1 | ||||||||
Waterway | 2 | |||||||||
Grass field | 2 | 3 | ||||||||
2nd | Rice field | 1 | 14 (6.8) | |||||||
Field | 1 | 1 | ||||||||
Waterway | ||||||||||
Grass field | 5 | 6 | ||||||||
3rd | Rice field | 14 (6.8) | ||||||||
Field | 1 | 1 | ||||||||
Waterway | 1 | 4 | ||||||||
Grass field | 1 | 6 | ||||||||
Total | 1 (0.5) | 46 (22.2) | 11 (5.3) | 73 (35.3) | 41 (19.8) | 8 (3.9) | 27 (13.0) | 207 |
Abbreviations: M, months; W, weeks;
2020년 3월 4주째, 4월 2주째, 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Sherman collapsible trap을 각각 100개씩 총 400개를 설치하여 44마리의 들쥐를 포획하여 TI. 0.11이였다. 개체수는 월별로 3월에 17마리(TI. 0.17)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13마리, 10월에 9마리, 4월에 5마리였다(Figure 2). 채집환경별로 야산 22마리, 수로 12마리, 저수지 5마리, 논 5마리로 야산에서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Figure 3). 환경별 가장 많이 포획된 결과는 봄철인 3월과 4월에 총 22마리 중 수로에서 9마리(40.9%)가 포획되어 가장 많이 포획되었으며 가을철인 10월과 11월에 총 22마리 중 야산에서 18마리(81.8%)로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포획된 설치류의 종류는 등줄쥐(
Types and body sizes of rodents catched in Jinan, Jeollabuk-do
Month | Sites | Name | Sex (M/F) |
Weight (g) |
Head+Body (cm) |
Tail (cm) |
Total size (cm) |
Ear (cm) |
Right foot (cm) |
---|---|---|---|---|---|---|---|---|---|
Mar | Hill | F | 19.0 | 9.0 | 8.0 | 17.0 | 1.0 | 2.0 | |
F | 26.0 | 9.5 | 9.0 | 18.5 | 1.5 | 2.1 | |||
F | 29.0 | 9.5 | 5.0 | 14.5 | 1.0 | 1.5 | |||
Rice field | M | 29.0 | 11.0 | 7.5 | 18.5 | 1.2 | 2.0 | ||
F | 24.0 | 11.0 | 5.0 | 16.0 | 1.2 | 2.0 | |||
M | 21.0 | 8.2 | 7.8 | 16.0 | 1.2 | 2.0 | |||
F | 23.0 | 9.8 | 7.2 | 17.0 | 1.0 | 2.0 | |||
Waterway | M | 30.0 | 9.0 | 8.0 | 17.0 | 1.4 | 1.8 | ||
F | 21.0 | 8.5 | 7.5 | 16.0 | 1.0 | 1.6 | |||
F | 24.0 | 8.5 | 8.0 | 16.5 | 1.2 | 1.8 | |||
M | 27.0 | 9.8 | 7.2 | 17.0 | 1.2 | 2.0 | |||
F | 22.0 | 9.0 | 7.5 | 16.5 | 1.0 | 1.9 | |||
M | 32.0 | 9.5 | 8.5 | 18.0 | 1.2 | 1.8 | |||
F | 21.0 | 9.0 | 7.5 | 16.5 | 1.1 | 1.8 | |||
Reservoir | M | 41.0 | 12.0 | 9.0 | 21.0 | 1.5 | 2.1 | ||
F | 22.0 | 9.0 | 8.5 | 17.5 | 2.2 | 2.0 | |||
M | 31.0 | 9.0 | 9.0 | 18.0 | 1.2 | 2.1 | |||
Apr | Hill | M | 25.0 | 10.0 | 8.5 | 18.5 | 1.0 | 1.3 | |
Rice field | M | 20.0 | 8.5 | 7.0 | 15.5 | 1.0 | 1.0 | ||
Waterway | M | 31.0 | 10.0 | 9.5 | 19.5 | 1.0 | 1.5 | ||
F | 4.0 | 6.5 | 3.5 | 10.0 | 0.5 | 0.8 | |||
Reservoir | M | 34.0 | 9.0 | 9.0 | 18.0 | 1.2 | 1.8 | ||
Oct | Hill | F | 16.0 | 8.6 | 7.9 | 16.5 | 1.0 | 1.7 | |
F | 29.0 | 10.9 | 8.1 | 19.0 | 1.0 | 2.3 | |||
F | 15.0 | 7.5 | 6.5 | 14.0 | 0.9 | 1.8 | |||
M | 18.0 | 7.0 | 6.0 | 13.0 | 1.0 | 2.0 | |||
F | 17.0 | 7.7 | 7.5 | 15.2 | 1.1 | 2.0 | |||
F | 35.0 | 9.5 | 8.4 | 17.9 | 1.1 | 2.2 | |||
F | 16.0 | 8.9 | 4.6 | 13.5 | 0.8 | 1.5 | |||
Waterway | M | 11.0 | 8.5 | 3.5 | 12.0 | 0.6 | 1.3 | ||
Reservoir | M | 34.0 | 12 | 10.0 | 22.0 | 1.0 | 1.8 | ||
Nov | Hill | F | 14.0 | 7.0 | 7.5 | 14.5 | 1.2 | 1.8 | |
M | 15.0 | 8.2 | 6.5 | 14.7 | 1.1 | 2.0 | |||
M | 19.0 | 8.3 | 8.0 | 16.3 | 1.2 | 2.1 | |||
M | 28.0 | 8.7 | 10.0 | 18.7 | 1.3 | 2.2 | |||
F | 24.0 | 7.2 | 8.4 | 15.6 | 1.1 | 2.3 | |||
F | 38.0 | 9.7 | 10.7 | 20.4 | 1.2 | 2.3 | |||
F | 17.0 | 7.3 | 6.6 | 13.9 | 1.0 | 1.7 | |||
F | 38.0 | 9.0 | 9.2 | 18.2 | 1.0 | 2.0 | |||
M | 7.0 | 5.5 | 6.0 | 11.5 | 0.7 | 1.5 | |||
M | 13.0 | 6.3 | 4.0 | 10.3 | 0.5 | 1.5 | |||
F | 13.0 | 7.3 | 3.8 | 11.1 | 0.6 | 1.7 | |||
Waterway | M | 39.0 | 10.8 | 4.7 | 15.5 | 1.1 | 2.1 | ||
F | 18.0 | 8.5 | 7.0 | 15.5 | 0.8 | 2.1 |
Abbreviations: M, male; F, female.
포획한 설치류를 종별 외부형태 특성을 환경별로 분석한 결과 몸무게는 종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3월에 저수지에서 포획된 등줄쥐(
포획된 44마리의 야생설치류에서 털진드기가 총 6,628마리 채집되어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는 150.6으로 나타났다. 가을철인 10월에 2,108마리, 11월에 2,903마리의 많은 털진드기가 채집되었고, CI는 10월에 234.2, 11월에 223.3으로 10월이 가장 높았다. 봄철 4월에 1,286마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CI는 75.6, 5월에 331마리가 채집되어 66.2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Figure 4).
Number of rodent catches and chigger index
Site | Month | No. of traps | No. of collected field rodents | Trap index | No. of chigger mites | Chigger index |
---|---|---|---|---|---|---|
Jinan-gun Baegun-myeon |
Apr | 100 | 17 | 0.17 | 1,286 | 75.6 |
May | 100 | 5 | 0.05 | 331 | 66.2 | |
Oct | 100 | 9 | 0.09 | 2,108 | 234.2 | |
Nov | 100 | 13 | 0.13 | 2,903 | 223.2 | |
Result | 400 | 44 | 0.11 | 6,628 | 150.6 |
야생설치류에서 채집된 총 6,628마리의 털진드기 중에서 50% (질병관리청에서 생물자원확보를 위해 50% 보관)인 3,314마리를 쯔쯔가무시 병원체 감시에 사용하였다. 야생설치류 1개체를 독립적 pool로 구분지어 1개의 pool 당 30마리를 초과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병원체 보유여부 검사결과 모든 pools에서 음성으로 확인되었다(Figure 5).
질병관리청에서는 진드기 매개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권역별 감시거점센터를 매년 운영 실시 중에 있어 전북권역의 연구 결과 자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최근 2020년 전북지역의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건수는 402건으로 인구 10만명당 발생율 22.19명으로 전국에서 전남, 경남 다음으로 높은 발생율을 기록하였던 지역이다[5]. 연구사업은 2020년 전북 진안군 진안읍 일원에서 털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병원체인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가을철 유행으로 2020년 9월 1주부터 12월 3주까지 채집기 이용한 털진드기 발생감시를 진안군 진안읍의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서 실시한 결과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ee 등[21]의 결과 개체수 8종 611마리보다 종과 개체수가 적게 분류∙동정 되었던 이유는 긴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물에 씻겨 내려가 감소시키는 작용과 함께 강수량은 습도 변화에 의해 생존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도 추정된다[25, 26].
시기별로는 9월 4주까지는 털진드기가 채집되지 않았으나, 9월 5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어 Lee 등[21]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 순으로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
야생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분포조사는 질병관리청에서 정해놓은 채집 주간 시기에 맞추어 채집을 실시하였는데 일반적으로 털진드기 산란철인 봄철과 최고조에 이르는 가을철에 채집을 하였으며 거의 채집되지 않는 뜨거운 여름철에는 채집을 실시하지 않았다. 봄철(3월 4주째, 4월 2주째)에 22마리 중 수로에서 9마리(40.9%), 가을철(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22마리 중 야산에서 18마리(81.8%)를 포획하여 총 44마리의 들쥐를 포획하여 평균 TI. 0.11였다. 개체수는 3월에 17마리(TI. 0.17)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13마리, 10월에 9마리, 4월에 5마리로 계절적 시기별 분포는 봄철과 가을철에 22마리로 같은 개체수를 보였는데 시기별 분포는 주로 가을철에 가장 많이 포획되고, 다음으로 봄철에 많이 포획된 것과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 차이가 없었다. 이는 봄철 기온이 예년에 비해 높았고, 늦여름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인한 들쥐의 서식환경의 변화로 생각된다.
채집환경별 개체수는 야산 22마리, 수로 12마리, 저수지 5마리, 논 5마리로 야산에서 가장 많이 포획되어 같은 지역에서 선행 연구한 Lee 등[2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가장 많이 포획된 야산은 들쥐가 생존하는데 각종 유기물들의 변화에 의한 부식질의 발달과 은폐하기 쉬운 숲속에서 땅굴을 파고 생활하는데 용이함으로 들쥐의 서식지 밀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포획하기 위해 설치한 Sherman collapsible trap의 민감도, 주변 환경 변화, 포식자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포획된 설치류 종류는 등줄쥐(
설치류의 외부형태 측정은 종별 외부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몸무게와 체장은 종별에 의한 차이를 보여 몸무게가 가장 무거웠던 등줄쥐(
포획된 야생설치류 44마리에서 총 6,628마리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포획한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개체수의 밀도를 나타내는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는 150.6으로 봄철인 4월에 CI. 75.6, 5월에 CI. 66.2, 가을철인 10월에 CI. 234.2, 11월에 CI. 223.3으로 털진드기가 채집되었다. 2019년 같은 지역에서의 Lee 등[21]의 결과에서와 같이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CI.가 높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털진드기의 계절적 발생 분포양상처럼 유충이 9월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여 11월에 그 수가 최고치에 이르게 된 점[13]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의 쯔쯔가무시 병원체 조사 결과 야생설치류에서 채집된 총 6,628마리의 털진드기 중에서 50%는 각 권역 감시거점센터별 생물자원확보를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수거함으로서 나머지 50%인 3,314마리를 쯔쯔가무시 병원체 검사에 사용하였다. 병원체 보유 여부 감염율 검사는 모두 음성의 결과를 보였지만 2019년 같은 지역의 선행연구에서 Lee 등[21]은 5월과 9월에 총 2개의 pools에서 양성이 확인되었다. 이렇듯 채집한 지점마다 각각 다른 털진드기의 밀도, 털진드기를 전파하는 야생동물의 활동권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직업적인 노출, 야외활동에 의한 노출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생태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속되는 환자발생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전북지역의 쯔쯔가무시증의 연간 추이변화를 2001∼2015년까지 살펴보면 유병율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전남, 충남, 경남 지역과 함께 이 지역은 쯔쯔가무시증 고발생 지역으로 농경지 면적이 넓고 농업인 구성비율이 높으며, 전반적으로 털진드기 성장발육에 적합한 온화한 기온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구 10만명당 매년 약 3.5명씩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전국 평균 0.9명 증가에 비해 약 4배 높은 수준이다[27]. 또한 같은 지역에서 양성이 나왔던 5월과 9월의 특정시기뿐만이 아닌 매달 정기적인 채집을 통한 병원체 감시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전북 진안지역에서 양성은 없었지만 향후 전북 진안지역에서 채집기와 설치류를 이용한 시기별, 장소별 털진드기 개체수의 변화와
털진드기 발생감시를 위해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 채집기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9월 5째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째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 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
This study was supported by fund (code
None
Park C, Professor; Lee HJ,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