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Distribution Variations of Chigger Mites Collected in Jinan, Jeollabuk-do
Korean J Clin Lab Sci 2021;53:317-325  
Published on December 31, 2021
Copyright © 2021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Hyeok Jae Lee, Chul Park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Gwangju Health University, Gwangju, Korea
Correspondence to: Chul Park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Gwangju Health University, Bungmun-daero 419 beon-gil, Gwangsan-gu, Gwangju 62287, Korea
E-mail: pcggs11070417@hanmail.net
ORCID: https://orcid.org/0000-0003-0169-361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In order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chigger mites, collectors were installed at four places: rice field, field, waterway, and grass field. Totally, 207 chigger mites belonging to 7 species were collected. Starting with 2 mites in the 5 weeks of September, a maximum of 49 mites were collected during 3 weeks of November. Totally, 81, 52, 47 and 27 mites were collected from grass field, waterways, rice field, and field, respectively. Analysis of sampling and collecting chigger mites determined that the most encountered species was Neotrombicula kwangneun (73, 35.3%), followed by Leptotrombidium palpale (46, 22.2%), N. tamiyai (41, 19.8%) and N. asakawai (27, 13.0%). The grab results of 44 wild rodents revealed Apodemus agrarius (35, 79.5%), Crocidura spp. (5, 11.4%), Craseomys regulus (2, 4.5%), and A. peninsulae (2, 4.5%; which had not been detected previously). A total of 6,628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from rodents, and the chigger index was determined to be 150.6. Chigger index was found to be highest at 234.2 in October, followed by 223.3 in November, 75.6 in April, and 66.2 in May. PCR from all chigger mite samples tested negative for the Tsutsugamushi pathogen.
Keywords : Chigger index, Chigger mite, N. kwangneun, Tsutsugamushi
서 론

Orientia tsutsugamushiRickettsiaceae과에 속하는 그람 음성 막대균으로 발진티푸스 또는 쯔쯔가무시증의 원인균이다. 주로 농촌 지역의 논, 밭, 초지, 잡목림 등에서 작업도중 O.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O. tsutsugamushi의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성장단계는 알에서 다리가 3쌍인 유충, 다리가 4쌍인 자충 그리고 성충으로 4단계의 생활사를 거치며, 자충과 성충은 자유생활을 하고 유충시기에만 포유 동물에 기생하여 체액을 흡입 후 다시 자연계에서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설치류인 들쥐나 사람에게 붙어 체액을 섭취할 때 털진드기의 침샘에 있던 O. tsutsugamushi가 체내로 유입되어 발병한다[1, 2]. 쯔쯔가무시증의 주 발생 지역인 동남아시아지역을 포함하여 서쪽 파키스탄, 북쪽 시베리아 연해주, 남쪽 호주를 잇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삼각형 지역 내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지역 풍토병이었지만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사례가 보고되었다[3]. 매년 약 100만 건의 쯔쯔가무시증이 발생하고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위험에 처해 있으며, 국내에서는 1994년부터 환자 발생 감시를 시작하여 1998년 이후 수년간 증가 추세를 보였고 2012년부터 매년 환자 발생이 8,000명 이상 증가하여 2016년은 11,105명을 정점으로 2017년부터는 10,528명, 2018년 6,668명, 2019년 4,005명으로 매년 감소 추세였지만 2020년에는 4,479명 발생으로 다시 증가하였다[4, 5]. 임상적 특징은 매개 감염을 일으키는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eschar) 형성과 발열, 발진, 림프절 종창과 비대 및 치명적인 다발성 장기 부전 등을 보일 수 있지만[9], 즉시 항생제 사용으로 빠르게 호전이 된다[7]. 그러나 아직까지는 백신이 개발되지 않는 실정이다.

국내 쯔쯔가무시증은 1951년 한국전쟁시 UN군에서 첫 발생보고를 시작으로[8] 1957년에는 O. tsutsugamushi 병원체를 야생 등줄쥐(Apodemus agrarius)에서 기생하는 대잎털진드기(L. pallidum) [9], 제주, 경기도 파주와 강원도 철원에서는 활순털진드기(L. scutellare) [10], 사륙털진드기(N. japonica) [11] 순으로 확인되어 종에 의한 다양성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국내 털진드기 종류 분포로 보았을때 북쪽 지역(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에서는 대잎털진드기(L. pallidum), 호남, 경남, 제주 남쪽 지역에서는 활순털진드기(L. scutellare)가 우점종임을 보고하였다[12, 13]. 또한 계절적 발생 분포양상에서 일반적으로 9월 하순에 보고되기 시작하여 11월에 최고조에 이르지만[5] 최근 남부와 제주지역으로 갈수록 12월달까지 늦춰지는 경향을 보인다[14].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털진드기가 산란을 할 수 있는 적정온도와 시기가 늦춰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3년간(2017∼2019) 국내 환자발생 수가 4,000∼10,000명 이상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발열성 질환으로[15] 감염성 매개체 전파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해 털진드기 발생분포 및 병원체 감염률에 대한 정기적인 감시자료를 확보하고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전국 권역별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권역거점센터를 운영중 매개체 털진드기의 종류와 계절적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채집기와 포획한 야생 설치류에서 털진드기를 채취하여 자연환경에서 개체 수 및 분포와 O. tsutsugamushi 감염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지역민과 국민들에게 안내 및 예방을 위한 기초 역학자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채집기를 이용한 털진드기 수집

진안군 진안읍 일원에서 2020년 9월 첫주부터 12월 셋째주까지 주 1회씩 논(N35.747038°, E127.408416°), 밭(N35. 748473°, E127.424691°), 수로(N35.748038°, E127.418168°), 초지(N35.749746°, E127.413899°) 4지점에서 각각 5개씩 총 20개의 유인제가 포함된 채집기를 설치하여 채집된 털진드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16].

2. 설치류 포획

털진드기가 활동하기 시작하는 2020년 봄철(상반기) 3월 4주째, 4월 2주째와 가을철(하반기), 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진안군 백운면 일원에서 설치류가 서식할 만한 장소 주변으로 논(N35.392710°, E127.260140°), 수로(N35.395072°, E127. 245662°), 밭(N35.394901°, E127.245824°), 저수지(N35. 383350°, E127.267900°), 야산(N35.394758°, E127.245533°)에 각각 20개씩 Sherman collapsible trap (7.7×9×23 cm; H.B. Sherman, Tallahassee, FL, USA)을 5 m 정도 간격을 두고 100개의 trap을 설치해서 들쥐를 포획하였다[17]. 포획된 설치류는 다음날 아침(6∼8시)에 수거해서 trap 운반용 상자에 넣어 실험실로 이송하였다[17, 18].

3. 포획한 설치류 동정 및 털진드기 채집

마취제인 chloroform (Merck, NJ, USA)을 이용해서 흡입 마취시킨 뒤 설치류의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고[19] 또한 설치류의 성별, 몸무게, 머리와 몸통길이, 꼬리길이, 체장, 귀, 발길이를 측정하였다. 포획한 설치류의 털진드기 채집을 위해서 흡입 마취시킨 후 쥐 꼬리에 도구를 이용하여 거꾸로 매달아 놓고 그 밑에 증류수를 약 1 cm 정도 담은 플라스틱 용기를 2일간 놓아두어 용기에 떨어진 털진드기를 1차 회수하고 귀뒤, 생식기 주변, 항문 등에 남아있는 털진드기를 2차로 회수하여 실체현미경(Olympus SZ61, Tokyo, Japan)으로 확인하였다[17, 20]. 설치류 포획을 위해 설치한 전체 trap에서 채집된 들쥐 개체수를 나타내는 트랩 지수(Trap index, TI, 전체 채집 개체수/전체 트랩수)를 구하고, 포획한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개체수의 밀도를 나타내는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 채집된 털진드기 총 개체수/털진드기를 가지고 있는 들쥐 마리수)를 구하였다[21].

4. 털진드기의 표본 제작 및 동정

채집기와 포획한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한 마리씩 slide glass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PVA 포매용액(56% polyvinyle alcohol, 22% lactic acid, 22% phenol solution)을 적당량 떨어뜨린 후 해부침을 사용하여 등쪽이 위로 향하도록 한 다음 cover glass를 덮어 표본을 제작하였다[17]. 제작된 Slide glass는 알콜램프를 이용하여 비등점까지 순간 가열해서 털진드기 내부를 투명하게 함과 동시에 다리를 곧게 뻗치도록 하였다[17, 22]. 제작된 털진드기 표본은 광학현미경(Olympus CX23, Tokyo, Japan)을 이용 100배와 400배에서 Ree [20]의 검색표에 따라서 동정∙분류하였으며, 분류된 털진드기는 종별 정리하여 기록, 보관하였다.

5. 털진드기 병원체 보균율 조사

채집기와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최대 50마리씩 pooling하여 PCR에 사용하였다. 검출방법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nested PCR을 시행하였고 O. tsutsugamushi의 항원의 하나로서 세포막에 주로 존재하고 세포에 부착해서 침투하는 역할을 하는 감염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56 kDa 주요 외막 단백항원에 특이적 시발체인 primer sets (First F: 5ʹ-GCAATATTGCTAGTGCAATGTCTGC-3ʹ, First R: 5ʹ-ATGCATGCATGRCGCTKCAATTTA-3ʹ; Second F: 5ʹ-ATAGGCCTATAAGTATWGCKGATC G-3ʹ, Second R: 5ʹ-CATCTAGAYGCACTATTAGGCAAA-3ʹ)을 이용하여 증폭된 475 bp target size 밴드를 검출하였다[23]. DNA 추출은 G-spinTM total DNA extraction mini kit (iNtRON Biotechnology Inc, Seongnam city, Korea)를 사용하였고, O. tsutsugamushi를 확인하기 위해 INNOPLEXTM TSUTSU dete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Inc, Seongnam city, Korea)를 사용하여 Nested PCR을 실시하였다[23]. 실험방법은 첫번째 PCR 단계로 pre-mixture tube에 DNA template 2 μL, DNase/Rnase-free water 18 μL를 포함하여 최종 20 μL와 First primer set 0.25 μL를 혼합하여 증폭하였다. 두번째 PCR 단계는 첫번째 PCR 산물 중 1 μL를 pre-mixture tube에 넣고 DNase/RNase-free water 19 μL와 second primer set 0.25 μL를 첨가 혼합하여 증폭하였고 조건은 Table 1과 같이 실시하였다[23, 24].

Conditions for nested-PCR

Amplification conditions Temperature Time Cycle
1st PCR Initial denaturation 94°C 5 min 1 cycle
Denaturation 94°C 30 sec 40 cycle
Annealing 58°C 30 sec
Extension 72°C 40 sec
Final extension 72°C 5 min 1 cycle
2nd PCR Initial denaturation 94°C 5 min 1 cycle
Denaturation 94°C 30 sec 35 cycle
Annealing 58°C 30 sec
Extension 72°C 40 sec
Final extension 72°C 5 min 1 cycle

결 과

1. 채집기를 이용한 털진드기 조사

진안군 진안읍에서 2020년 9월 1주부터 12월 3주까지 1주일에 한 번씩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서 채집기를 이용한 털진드기를 조사한 결과 전체 채집 개체 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시기별로는 9월 1주∼4주까지는 털진드기가 채집되지 않았으나, 9월 5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가 채집되었다(Figure 1).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N. kwangneun) 73마리(35.3%)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수염털진드기(L. palpale)가 46마리(22.2%),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41마리(19.8%), 작은새방울털진드기(N. asa-kawai) 27마리(13.0%), 활순털진드기(L. scutellare) 11마리(5.3%), 들꿩털진드기(H. miyagawai) 8마리(3.9%), 대잎털진드기(L. pallidum) 1마리(0.5%) 순으로 동정되었다(Table 2).

Number and types of chigger mites collected by environment using trap

M W Place L. pallidum L. palpale L. scutellare L. kwangeneun N. tamiyai H. miyagawai Ne. asakawai Total
N (%)
9 1st∼4th Rice field 0
Field
Waterway
Grass field
5th Rice field 2 (1.0)
Field
Waterway
Grass field 2
10 1st Rice field 0
Field
Waterway
Grass field
2nd Rice field 2 (1.0)
Field
Waterway
Grass field 2
3rd Rice field 1 (0.5)
Field 1
Waterway
Grass field
4th Rice field 1 20 (9.7)
Field 3 1
Waterway 1 4
Grass field 1 2 1 6
11 1st Rice field 2 1 21 (10.1)
Field
Waterway 1 4 2
Grass field 11
2nd Rice field 1 3 1 27 (13.0)
Field 4 1
Waterway 1 5 3
Grass field 2 6
3rd Rice field 4 3 8 49 (23.7)
Field 3 1
Waterway 11 9
Grass field 1 3 2 3 1
4th Rice field 1 7 7 38 (18.4)
Field 4
Waterway 2 2
Grass field 7 1 3 2 2
12 1st Rice field 2 5 19 (9.2)
Field 4 1
Waterway 2
Grass field 2 3
2nd Rice field 1 14 (6.8)
Field 1 1
Waterway
Grass field 5 6
3rd Rice field 14 (6.8)
Field 1 1
Waterway 1 4
Grass field 1 6
Total 1 (0.5) 46 (22.2) 11 (5.3) 73 (35.3) 41 (19.8) 8 (3.9) 27 (13.0) 207

Abbreviations: M, months; W, weeks; L, Leptotrombidium; N, Neotrombicula; H, Helenicula; Ne, Neoschoengastia.



Fig. 1.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chigger mite populations by environ-ment using a collector.

2. 설치류에서 털진드기 분포조사

2020년 3월 4주째, 4월 2주째, 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Sherman collapsible trap을 각각 100개씩 총 400개를 설치하여 44마리의 들쥐를 포획하여 TI. 0.11이였다. 개체수는 월별로 3월에 17마리(TI. 0.17)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13마리, 10월에 9마리, 4월에 5마리였다(Figure 2). 채집환경별로 야산 22마리, 수로 12마리, 저수지 5마리, 논 5마리로 야산에서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Figure 3). 환경별 가장 많이 포획된 결과는 봄철인 3월과 4월에 총 22마리 중 수로에서 9마리(40.9%)가 포획되어 가장 많이 포획되었으며 가을철인 10월과 11월에 총 22마리 중 야산에서 18마리(81.8%)로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포획된 설치류의 종류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 35마리(79.5%), 땃쥐(Crocidura spp.) 5마리(11.4%), 대륙밭쥐(Craseomys regulus) 2마리(4.5%),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2마리(4.5%)로 확인되었다(Table 3).

Types and body sizes of rodents catched in Jinan, Jeollabuk-do

Month Sites Name Sex
(M/F)
Weight
(g)
Head+Body
(cm)
Tail
(cm)
Total size
(cm)
Ear
(cm)
Right foot
(cm)
Mar Hill Apodemus agrarius F 19.0 9.0 8.0 17.0 1.0 2.0
Apodemus peninsulae F 26.0 9.5 9.0 18.5 1.5 2.1
Craseomys regulus F 29.0 9.5 5.0 14.5 1.0 1.5
Rice field Apodemus agrarius M 29.0 11.0 7.5 18.5 1.2 2.0
F 24.0 11.0 5.0 16.0 1.2 2.0
M 21.0 8.2 7.8 16.0 1.2 2.0
F 23.0 9.8 7.2 17.0 1.0 2.0
Waterway Apodemus agrarius M 30.0 9.0 8.0 17.0 1.4 1.8
F 21.0 8.5 7.5 16.0 1.0 1.6
F 24.0 8.5 8.0 16.5 1.2 1.8
M 27.0 9.8 7.2 17.0 1.2 2.0
F 22.0 9.0 7.5 16.5 1.0 1.9
M 32.0 9.5 8.5 18.0 1.2 1.8
F 21.0 9.0 7.5 16.5 1.1 1.8
Reservoir Apodemus agrarius M 41.0 12.0 9.0 21.0 1.5 2.1
F 22.0 9.0 8.5 17.5 2.2 2.0
M 31.0 9.0 9.0 18.0 1.2 2.1
Apr Hill Apodemus agrarius M 25.0 10.0 8.5 18.5 1.0 1.3
Rice field Apodemus agrarius M 20.0 8.5 7.0 15.5 1.0 1.0
Waterway Apodemus agrarius M 31.0 10.0 9.5 19.5 1.0 1.5
Crocidura lasiura F 4.0 6.5 3.5 10.0 0.5 0.8
Reservoir Apodemus agrarius M 34.0 9.0 9.0 18.0 1.2 1.8
Oct Hill Apodemus agrarius F 16.0 8.6 7.9 16.5 1.0 1.7
F 29.0 10.9 8.1 19.0 1.0 2.3
F 15.0 7.5 6.5 14.0 0.9 1.8
M 18.0 7.0 6.0 13.0 1.0 2.0
F 17.0 7.7 7.5 15.2 1.1 2.0
F 35.0 9.5 8.4 17.9 1.1 2.2
Crocidura lasiura F 16.0 8.9 4.6 13.5 0.8 1.5
Waterway Crocidura lasiura M 11.0 8.5 3.5 12.0 0.6 1.3
Reservoir Apodemus agrarius M 34.0 12 10.0 22.0 1.0 1.8
Nov Hill Apodemus agrarius F 14.0 7.0 7.5 14.5 1.2 1.8
M 15.0 8.2 6.5 14.7 1.1 2.0
M 19.0 8.3 8.0 16.3 1.2 2.1
M 28.0 8.7 10.0 18.7 1.3 2.2
F 24.0 7.2 8.4 15.6 1.1 2.3
F 38.0 9.7 10.7 20.4 1.2 2.3
F 17.0 7.3 6.6 13.9 1.0 1.7
Apodemus peninsulae F 38.0 9.0 9.2 18.2 1.0 2.0
Apodemus agrarius M 7.0 5.5 6.0 11.5 0.7 1.5
Crocidura lasiura M 13.0 6.3 4.0 10.3 0.5 1.5
F 13.0 7.3 3.8 11.1 0.6 1.7
Waterway Craseomys regulus M 39.0 10.8 4.7 15.5 1.1 2.1
Apodemus agrarius F 18.0 8.5 7.0 15.5 0.8 2.1

Abbreviations: M, male; F, female.



Fig. 2. Monthly distribution of rodent catches.

Fig. 3. Distribution of rodent catche by environment.

3. 설치류의 외부형태 측정

포획한 설치류를 종별 외부형태 특성을 환경별로 분석한 결과 몸무게는 종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3월에 저수지에서 포획된 등줄쥐(Apodemus agrarius)가 41.0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가장 가벼웠던 것은 11월에 야산에서 포획된 땃쥐(Crocidura lasiura)가 4.0 g으로 조사되었다. 체장 길이가 가장 큰 것은 10월 저수지에서 포획된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 22.0 cm, 가장 작은 것은 4월에 수로에서 10.0 cm 길이의 땃쥐(Crocidura lasiura)가 포획되었다. 머리와 몸통, 꼬리, 체장, 귀, 발 길이는 환경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4. 설치류에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발생밀도

포획된 44마리의 야생설치류에서 털진드기가 총 6,628마리 채집되어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는 150.6으로 나타났다. 가을철인 10월에 2,108마리, 11월에 2,903마리의 많은 털진드기가 채집되었고, CI는 10월에 234.2, 11월에 223.3으로 10월이 가장 높았다. 봄철 4월에 1,286마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CI는 75.6, 5월에 331마리가 채집되어 66.2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Figure 4).

Number of rodent catches and chigger index

Site Month No. of traps No. of collected field rodents Trap index No. of chigger mites Chigger index
Jinan-gun
Baegun-myeon
Apr 100 17 0.17 1,286 75.6
May 100 5 0.05 331 66.2
Oct 100 9 0.09 2,108 234.2
Nov 100 13 0.13 2,903 223.2
Result 400 44 0.11 6,628 150.6


Fig. 4. Number of chigger mites per month.

5. 털진드기의 쯔쯔가무시 병원체 보균율

야생설치류에서 채집된 총 6,628마리의 털진드기 중에서 50% (질병관리청에서 생물자원확보를 위해 50% 보관)인 3,314마리를 쯔쯔가무시 병원체 감시에 사용하였다. 야생설치류 1개체를 독립적 pool로 구분지어 1개의 pool 당 30마리를 초과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병원체 보유여부 검사결과 모든 pools에서 음성으로 확인되었다(Figure 5).

Fig. 5.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DNA amplified by O. tsutsugamushi nested PCR.
Abbreviations: M, size marker; N, negative control; P, positive control; lane 1∼5, chigger mites samples.
고 찰

질병관리청에서는 진드기 매개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권역별 감시거점센터를 매년 운영 실시 중에 있어 전북권역의 연구 결과 자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최근 2020년 전북지역의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건수는 402건으로 인구 10만명당 발생율 22.19명으로 전국에서 전남, 경남 다음으로 높은 발생율을 기록하였던 지역이다[5]. 연구사업은 2020년 전북 진안군 진안읍 일원에서 털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병원체인 O. tsutsugamushi의 발생감시를 위해서 환경이 다른 4지점(논, 밭, 수로, 초지)에 채집기와 야생설치류에서 기생하는 털진드기를 채집하기 위해 포획틀인 Sherman collapsible trap을 설치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가을철 유행으로 2020년 9월 1주부터 12월 3주까지 채집기 이용한 털진드기 발생감시를 진안군 진안읍의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서 실시한 결과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ee 등[21]의 결과 개체수 8종 611마리보다 종과 개체수가 적게 분류∙동정 되었던 이유는 긴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물에 씻겨 내려가 감소시키는 작용과 함께 강수량은 습도 변화에 의해 생존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도 추정된다[25, 26].

시기별로는 9월 4주까지는 털진드기가 채집되지 않았으나, 9월 5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어 Lee 등[21]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 순으로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N. kwangneun) 73마리(35.3%)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수염털진드기(L. palpale)가 46마리(22.2%),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41마리(19.8%), 작은새방울털진드기(N. asakawai) 27마리(13.0%) 순으로 동정되었다. 2019년 Lee 등[21]과 동일지역에서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나 2020년은 광릉털진드기(N. kwangneun)가 우점종으로 채집되어 차이를 보이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는 같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종에 대한 분포 차이는 온도, 습도, 서식환경, 채집환경의 시기별 변화 등과 다양한 조건의 정밀조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야생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분포조사는 질병관리청에서 정해놓은 채집 주간 시기에 맞추어 채집을 실시하였는데 일반적으로 털진드기 산란철인 봄철과 최고조에 이르는 가을철에 채집을 하였으며 거의 채집되지 않는 뜨거운 여름철에는 채집을 실시하지 않았다. 봄철(3월 4주째, 4월 2주째)에 22마리 중 수로에서 9마리(40.9%), 가을철(10월 4주째, 11월 2주째)에 22마리 중 야산에서 18마리(81.8%)를 포획하여 총 44마리의 들쥐를 포획하여 평균 TI. 0.11였다. 개체수는 3월에 17마리(TI. 0.17)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13마리, 10월에 9마리, 4월에 5마리로 계절적 시기별 분포는 봄철과 가을철에 22마리로 같은 개체수를 보였는데 시기별 분포는 주로 가을철에 가장 많이 포획되고, 다음으로 봄철에 많이 포획된 것과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 차이가 없었다. 이는 봄철 기온이 예년에 비해 높았고, 늦여름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인한 들쥐의 서식환경의 변화로 생각된다.

채집환경별 개체수는 야산 22마리, 수로 12마리, 저수지 5마리, 논 5마리로 야산에서 가장 많이 포획되어 같은 지역에서 선행 연구한 Lee 등[2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가장 많이 포획된 야산은 들쥐가 생존하는데 각종 유기물들의 변화에 의한 부식질의 발달과 은폐하기 쉬운 숲속에서 땅굴을 파고 생활하는데 용이함으로 들쥐의 서식지 밀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포획하기 위해 설치한 Sherman collapsible trap의 민감도, 주변 환경 변화, 포식자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포획된 설치류 종류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 35마리(79.5%), 땃쥐류(Crocidura spp.) 5마리(11.4%), 대륙밭쥐(Craseomys regulus) 2마리(4.5%),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2마리(4.5%)로 확인되었다. Lee 등[21]의 설치류 종은 비슷하였지만 흰넓적다리붉은쥐는 러시아 극동과 중국 북부, 한반도 북부, 사할린 섬 그리고 홋카이도를 포함하여 동북아시아에 널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새로운 종으로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설치류의 외부형태 측정은 종별 외부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몸무게와 체장은 종별에 의한 차이를 보여 몸무게가 가장 무거웠던 등줄쥐(Apodemus agrarius)가 41.0 g이었고 가장 가벼웠던 것은 4.0 g으로 땃쥐(Crocidura lasiura)로 조사되었다. 체장은 가장 긴 것은 22.0 cm 등줄쥐(Apodemus agrarius)와 짧은 것은 10.0 cm의 땃쥐(Crocidura lasiura)였다. 그러나 머리와 몸통, 꼬리, 귀, 발 길이는 종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포획된 야생설치류 44마리에서 총 6,628마리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포획한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개체수의 밀도를 나타내는 털진드기 지수(chigger index, CI)는 150.6으로 봄철인 4월에 CI. 75.6, 5월에 CI. 66.2, 가을철인 10월에 CI. 234.2, 11월에 CI. 223.3으로 털진드기가 채집되었다. 2019년 같은 지역에서의 Lee 등[21]의 결과에서와 같이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CI.가 높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털진드기의 계절적 발생 분포양상처럼 유충이 9월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여 11월에 그 수가 최고치에 이르게 된 점[13]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의 쯔쯔가무시 병원체 조사 결과 야생설치류에서 채집된 총 6,628마리의 털진드기 중에서 50%는 각 권역 감시거점센터별 생물자원확보를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수거함으로서 나머지 50%인 3,314마리를 쯔쯔가무시 병원체 검사에 사용하였다. 병원체 보유 여부 감염율 검사는 모두 음성의 결과를 보였지만 2019년 같은 지역의 선행연구에서 Lee 등[21]은 5월과 9월에 총 2개의 pools에서 양성이 확인되었다. 이렇듯 채집한 지점마다 각각 다른 털진드기의 밀도, 털진드기를 전파하는 야생동물의 활동권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직업적인 노출, 야외활동에 의한 노출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생태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속되는 환자발생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전북지역의 쯔쯔가무시증의 연간 추이변화를 2001∼2015년까지 살펴보면 유병율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전남, 충남, 경남 지역과 함께 이 지역은 쯔쯔가무시증 고발생 지역으로 농경지 면적이 넓고 농업인 구성비율이 높으며, 전반적으로 털진드기 성장발육에 적합한 온화한 기온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구 10만명당 매년 약 3.5명씩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전국 평균 0.9명 증가에 비해 약 4배 높은 수준이다[27]. 또한 같은 지역에서 양성이 나왔던 5월과 9월의 특정시기뿐만이 아닌 매달 정기적인 채집을 통한 병원체 감시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전북 진안지역에서 양성은 없었지만 향후 전북 진안지역에서 채집기와 설치류를 이용한 시기별, 장소별 털진드기 개체수의 변화와 O. tsutsugamushi 감염 상태의 변화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권역별 감시 사업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요 약

털진드기 발생감시를 위해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 채집기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9월 5째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째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 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N. kwangneun) 73마리(35.3%)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수염털진드기(L. palpale)가 46마리(22.2%),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41마리(19.8%), 작은새방울털진드기(N. asakawai) 27마리(13.0%) 순으로 동정되었다. 야생설치류 44마리를 포획한 결과 등줄쥐(Apodemus agrarius) 35마리(79.5%), 땃쥐류(Crocidura spp.) 5마리(11.4%), 대륙밭쥐(Craseomys regulus) 2마리(4.5%)와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2마리(4.5%)였다.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총 6,628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150.6이었다. 시기별 chigger index는 10월에 234.2로 가장 높았고, 11월에 223.3, 4월에 75.6, 5월에 66.2 순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 검체로부터 쯔쯔가무시 병원체 PCR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fund (code

Conflict of interest

None

Author’s information (Position)

Park C, Professor; Lee HJ, Professor.

References
  1. Lee DK.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v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7;60:458-467. https://doi.org/10.5124/jkma.2017.60.6.458.
    CrossRef
  2. Kadosaka T, Kimura 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Orientia tsutsugamushi in salivary gland cells of naturally Infected Leptotrombidium pallidum larvae during feeding. Microbiol Immunol. 2003;47:727-733. https://doi.org/10.1111/j.1348-0421.2003.tb03442.
    Pubmed CrossRef
  3. Xu G, Walker DH, Jupiter D, Melby PC, Arcari CM. A review of the global epidemiology of scrub typhus. PLoS Negl Trop Dis. 2017;11. https://doi.org/10.1371/journal.pntd.0006062.
    Pubmed KoreaMed CrossRef
  4. Seo CW.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Regional Occurrence Distribution of Scrub Typhus: 2012∼2016. Korean J Clin Lab Sci. 2019;51:420-427. https://doi.org/10.15324/kjcls.2019.51.4.420.
    CrossRef
  5. Korea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fectious Disease Portal. The Results of the 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2020 [accessed on 1 March 2021]. Available online: http://kdca.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6. Kim DM, Yun NR, Neupane GP, Shin SH, Ryu SY, Yoon HJYoon HJ, et al.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Boryoung and Karp genotypes of Orientia tsutsugamushi. PLoS One. 2011;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22731.
    Pubmed KoreaMed CrossRef
  7. Rosenberg R. Drug-resistant scrub typhus: paradigm and paradox. Parasitol Today. 1997;13:131-132. https://doi.org/10.1016/s0169-4758(97)01020.
    Pubmed CrossRef
  8. Chang WH. Current statu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J Korean Med Sci. 1995;10:227-238. https://doi.org/10.3346/jkms.1995.10.4.227.
    Pubmed KoreaMed CrossRef
  9. Jackson EB, Danauskas JX, Smadel JE, Fuller HS, Coale MC, Bozeman FM. Occurrence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Korean rodents and chiggers. Am J Hyg. 1957;66:309-32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9904.
    Pubmed CrossRef
  10. Ree HI, Lee IY, Cho MK. Study on vector mit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eju Island. Korean J Parasitol. 1992;30:341-348. https://doi.org/10.3347/kjp.1992.30.4.341.
    Pubmed CrossRef
  11. Lee HI, Shim SK, Song BG, Choi EN, Hwang KJ, Park MYPark MY, et al. Detection of Orientia tsutsugamushi, the causative agent of scrub typhus, in a novel mite species, Eushoengastia koreaensis, in Korea. Vector-borne Zoonotic Dis. 2011;11:209-214. https://doi.org/10.1089/vbz.2009.0180.
    Pubmed CrossRef
  12. Ree HI, Lee IY, Jeon SH, Yoshida Y.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ctors and sero-strains of tsutsugamushi disease at mid-south inland of Korea. Korean J Parasitol. 1997;35:171-179. https://doi.org/10.3347/kjp.1997.35.3.171.
    Pubmed CrossRef
  13. Lee IY, Kim HC, Lee YS, Seo JH, Lim JW, Yong TSYong TS, et al.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vectors of scrub typhu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Parasitol. 2009;47:381-386. https://doi.org/10.3347/kjp.2009.47.4.381.
    Pubmed KoreaMed CrossRef
  14. Kim DY, Kim DM. The most common mite- and tick-borne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scrub typhus and severe fever thrombocytopenia syndrome. Korean J Med. 2018;93:416-423. https://doi.org/10.3904/kjm.2018.93.5.416.
    CrossRef
  15. Song BG, Lee WG, Lee HI, Cho SH.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scrub typhus v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9. Public Health Wkly Rep. 2020;13:817-831.
  16. Park WI, Roh JY, Ju YR. Survey of chigger mites as vector of scrubtyphus, 2015. Public Health Wkly Rep. 2016;9:552-554.
  17. Song HJ.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rodents and chigger mites in gokseong-gun of Jeollanam-do, Korea. Korean J Clin Lab Sci. 2016;48:242-246. https://doi.org/10.15324/kjcls.2016.48.3.242.
    CrossRef
  18. Traub R, Wisseman CL Jr. The ecology of chigger-borne rickettsiosis (scrub typhus). J Med Entomol. 1974;11:237-303.
    Pubmed CrossRef
  19. Jackson EB, Danauskas JX, Smadel JE, Fuller HS, Coale MC, Bozeman FM. Occurrence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Korean rodents and chiggers. Am J Hyg. 1957;66:309-32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9904.
    Pubmed CrossRef
  20. Ree HI.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Korean J Syst Zool. 1990;6:57-70.
  21. Lee HJ, Park C.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sampled in Seogwipo. Korean J Clin Lab Sci. 2019;51:344-350. https://doi.org/10.15324/kjcls.2019.51.3.344.
    CrossRef
  22. Ree HI, Lee IY, Cho MK. Determination of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Korean J Parasitol. 1991;29:87-92. https://doi.org/10.3347/kjp.1991.29.1.87.
    Pubmed CrossRef
  23. Park JW, Kim SH, Park DW, Jung SH, Park HJ, Seo MHSeo MH,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an Orientia tsutsugamushi gene encoding a 56-kDa type-specific antigen in chiggers, small mammals, and patients from the southwest region of Korea. Am. J. Trop. Med. Hyg. 2018;98:616-624. https://doi.org/10.4269/ajtmh.17-0070.
    Pubmed KoreaMed CrossRef
  24. Lee HJ, Park C. Density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collected from Jinan, Jeollabuk-do. Korean J Clin Lab Sci. 2020;52:364-371. https://doi.org/10.15324/kjcls.2020.52.4.364.
    CrossRef
  25. McMichael AJ, Woodruff RE, Hales S.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present and future risks. Lancet. 2006;367:859-869. https://doi.org/10.1016/S0140-6736(06)68079-3.
    Pubmed CrossRef
  26. Kong WS, Shin EH, Lee HI, Hwang TS, Kim HH, Lee NYLee NY, et al. Time-spatial distribution of scrub typhus and its environmental ecolog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7;42:863-878.
  27. Kang GU, Ma CJ, Oh GJ. Association between scrub typhus outbreak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Jeollabuk-do province. J Environ Health Sci. 2016;42:41-52. https://doi.org/10.5668/JEHS.2016.42.1.41.
    CrossRef


Full Text(PDF) Fre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

Fund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