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마커(biomarker)가 치료전략을 선택하는데 널리 활용되면서, 병리과에서 분자병리 검사에 적합한 조직 및 세포검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1]. 일반적인 병리과 진단업무에서 환자의 세포검체는 생리식염수 또는 액상세포검사 전용 고정액에 고정되고, 조직검체는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침투과정을 거친 후 포매하여 파라핀 블록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검체 처리 과정 동안 사용하는 고정액의 유형[2] 및 고정시간[3] 등 많은 요인들이 분자병리 돌연변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포르말린 고정이 지연되면 분자병리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보고한 바와 같이 포르말린 고정 전 지연시간에 대한 연구에서 검체의 냉동보관시간에 따라 검체 DNA 품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본 연구에서는 악성종양으로 진단된 증례를 이용하여, 검체의 종류에 따른 DNA 품질과 포르말린 고정 시간을 조사하였으며, 기타 DNA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병리학적 요소들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강북삼성병원의 기관심사위원회에서 승인(KBSMC 2020-10-022)을 받아, 2013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강북삼성병원 병리과에서 시행한 세침흡인 액상세포검체, 생검 및 수술조직 검체를 이용하여 Real-time PCR로
액상세포검체는 세침흡인 후 즉시 생리식염수에 담그고 병리과로 이송되어 실온에서 6000 rpm으로 6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준비하였다. 또한, 생검 및 수술조직검체는 동결 절편응급검사 시행을 위해 신선조직으로 병리과에 이송되어 동결응급검사를 시행하며 즉시 분자병리검사용 검체를 채취하거나 육안소견 상 종양 부위가 적은 경우 15분내로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폐 및 대장은 통상적으로 종양병변을 확인 후 관류고정을 하거나 코르크 판에 넓게 펼친 후 10% 중성 포르말린 고정액에 약 24시간 동안 고정단계를 거쳐 육안검사 후 포매조직을 채취하였다. 조직의 파라핀 침투처리는 HistoCore PELORIS 3 (Leica biosystems, Germany) 자동조직처리기에 의해 수행되었다. 처리된 조직 샘플은 통상적인 포매와 박절과정을 거처 h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 후 진단에 이용하였으며, 이 후 분자병리검사를 위해 유리슬라이드 전면에 종양 부위를 표시하고 종양 세포의 밀도를 백분율로 기록하였다.
생리 식염수에 담긴 세침흡인 액상세포검체는 즉시 원심분리 후 침전물을 사용하였다. 수술검체는 동결절편응급검사 중 신선 조직의 일부를 사용하였으며, 파라핀 포매 블록 검체는 회전형 박절기(Microtome)를 사용하여 5 μm 두께로 박절하여 1.5 mL 검체용기에 수집하였다. DNA 유전자 검사는 정제 키트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였으며(Maxwell 16 MDx, Promega, Madison, WI, USA) 추출한 DNA의 농도 및 순도는 UV/VIS분광광도계(NanoDrop Technologies, Wilmington, D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DNA 수량은 Quanti-It PicoGreen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돌연변이 검사는 peptide nucleic acid (PNA) Clamp 돌연변이 검사 키트(Pangene,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시행하였다. 검사과정을 간단히 요약하면 추출한 DNA 10 ng, Primer, PNA probe, SYBR green PCR master mixture를 포함하는 20 μL 반응 볼륨을 각 테스트에 사용하였다. Real-time PCR 반응은 CFX96 PCR 시스템(Bio-Rad, Philadelphia, PA, USA)에서 수행되었다. 주기 임계값(threshold cycle, Ct)과 델타 Ct (ㅿCt)값은 PNA 혼합없이 검체 튜브에서 자동으로 계산되어 검체 DNA 품질의 허용 가능성을 평가했다. 검체의 DNA 품질은 Ct값에 기초하여 제조사의 지침기준으로 최적(22∼23<Ct<30) 또는 허용 가능한(30≤Ct≤34) 또는 유효하지 않은(Ct≤22∼23 or Ct≥34∼35) 군으로 분류되었다. 돌연변이의 존재는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Ct값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강북삼성병원 연구지원팀의 의학통계 지원을 받아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IBM SPSS Ver.24)으로는 1. 범주형 변수: 세 군간 비율비교(Pearson’s Chi-square test), 2. 10% 중성 포르말린 고정시간에 따른 Non-PNA 값 경향성 확인(
연구에 이용한 전체 1,772건 검사 검체의 병리학적 특징은 Table 1에 요약하였다. 성별은 남성 707건(39.9%), 여성 1065건(60.1%)이었다. 이중에서
Summary of pathological data of 1,772 mutation tests
Total | |||||
---|---|---|---|---|---|
Total N (%) | 1,772 (100) | 1,045 (100) | 304 (100) | 423 (100) | |
Gender | <0.001 | ||||
Male | 707 (39.9) | 272 (26.0) | 164 (53.9) | 269 (63.6) | |
Female | 1,065 (60.1) | 773 (74.0) | 140 (46.1) | 154 (36.4) | |
Specimen type | <0.001 | ||||
Biopsy | 242 (13.7) | 0 (0.0) | 162 (53.3) | 80 (18.9) | |
Resection | 981 (55.4) | 508 (48.6) | 130 (42.8) | 343 (81.1) | |
Cytology | 549 (30.9) | 537 (51.4) | 12 (3.9) | 0 (0.0) | |
Organs | <0.001 | ||||
Thyroid | 1,045 (59) | 1,045 (100) | 0 (0.0) | 0 (0.0) | |
Lung | 227 (12.8) | 0 (0.0) | 227 (74.7) | 0 (0.0) | |
Except lung | 77 (4.3) | 0 (0.0) | 77 (25.3) | 0 (0.0) | |
Colon | 404 (22.8) | 0 (0.0) | 0 (0.0) | 404 (95.5) | |
Except colon | 19 (1.1) | 0 (0.0) | 0 (0.0) | 19 (4.5) | |
Formalin fixation time (hr) | <0.001 | ||||
<24 | 1,505 (84.9) | 1,044 (99.9) | 234 (77) | 227 (53.7) | |
24∼48 | 132 (7.4) | 0 (0.0) | 34 (11.2) | 98 (23.2) | |
48∼72 | 42 (2.4) | 0 (0.0) | 10 (3.3) | 32 (7.6) | |
72∼96 | 84 (4.7) | 1 (0.1) | 21 (6.9) | 62 (14.7) | |
>96 | 9 (0.5) | 0 (0.0) | 5 (1.6) | 4 (0.9) | |
Result | <0.001 | ||||
Invalid | 8 (0.45) | 2 (0.2) | 5 (1.6) | 1 (0.2) | |
Wild | 938 (52.9) | 476 (45.6) | 196 (64.5) | 266 (62.9) | |
Mutant | 826 (46.6) | 567 (54.2) | 103 (33.9) | 156 (36.9) | |
Retest | <0.001 | ||||
Test | 1,723 (97.2) | 1,032 (98.8) | 277 (91.1) | 414 (97.9) | |
Retest | 49 (2.76) | 13 (1.2) | 27 (8.9) | 9 (2.1) |
검사의 재검율을 검체 종류별로 비교하면 재검 전체 49건 중 수술조직이 24건(48.9%), 생검이 13건(26.5%), 세포검체는 12건(24.5%)이며(
Difference in retest rate by specimen type, 10% neutral formalin fixation time, and mutation result
Total | |||||||||||||||
---|---|---|---|---|---|---|---|---|---|---|---|---|---|---|---|
Test | Retest | Test | Retest | Test | Retest | Test | Retest | ||||||||
Total N (%) | 1,723 (100) | 49 (100) | 1,032 (100) | 13 (100) | 277 (100) | 27 (100) | 414 (100) | 9 (100) | |||||||
Specimen type | 0.028 | 0.016 | 0.875 | 0.218 | |||||||||||
Biopsy | 229 (13.3) | 13 (26.5) | 0 (0) | 0 (0) | 149 (53.8) | 13 (48.2) | 80 (19.3) | 0 (0) | |||||||
Resection | 957 (55.5) | 24 (48.9) | 506 (49.0) | 2 (15.4) | 117 (42.2) | 13 (48.2) | 334 (80.7) | 9 (100) | |||||||
Cytology | 537 (31.2) | 12 (24.5) | 526 (50.9) | 11 (84.6) | 11 (3.9) | 1 (3.7) | 0 (0) | 0 (0) | |||||||
Formalin fixation time (hr) | 0.062 | >0.999 | 0.582 | 0.338 | |||||||||||
<24 | 1,467 (85.1) | 38 (77.6) | 1,031 (99.9) | 13 (100.0) | 214 (77.3) | 20 (74.1) | 222 (53.6) | 5 (55.6) | |||||||
24∼48 | 126 (7.3) | 6 (12.2) | 0 (0) | 0 (0) | 30 (10.8) | 4 (14.8) | 96 (23.2) | 2 (22.2) | |||||||
24∼72 | 39 (2.3) | 3 (6.1) | 0 (0) | 0 (0) | 9 (3.3) | 1 (3.7) | 30 (7.3) | 2 (22.2) | |||||||
72∼96 | 83 (4.8) | 1 (2.0) | 1 (0.1) | 0 (0) | 20 (7.2) | 1 (3.7) | 62 (14.9) | 0 (0) | |||||||
>96 | 8 (0.5) | 1 (2.0) | 0 (0) | 0 (0) | 4 (1.4) | 1 (3.7) | 4 (0.9) | 0 (0) | |||||||
Result | 0.043 | 0.596 | 0.624 | 0.023 | |||||||||||
Invalid | 7 (0.4) | 1 (2.0) | 2 (0.2) | 0 (0) | 5 (1.8) | 0 (0) | 0 (0) | 1 (11.1) | |||||||
Wild | 906 (52.6) | 32 (65.3) | 469 (45.5) | 7 (53.9) | 176 (63.5) | 20 (74.1) | 261 (63.1) | 5 (55.6) | |||||||
Mutant | 810 (47.0) | 16 (32.7) | 561 (54.4) | 6 (46.2) | 96 (34.7) | 7 (25.9) | 153 (36.9) | 3 (33.3) |
Real-time PCR 검사에 따른 Non-PNA Ct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포르말린 고정시간에 따른 DNA 품질 변화를 측정해 보았다. 전체 검체 1,772건 중, 포르말린 고정시간에 따라 24시간 이하(1,505건)인 군에서 Non-PNA Ct평균값이 26.60, 48시간 이하(132건)군은 26.87, 72시간 이하(42건)인 군은 27.34, 96시간 이하(84건)는 27.59, 96시간 이상(9건)은 28.80으로, 포르말린 고정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NA 품질을 시사하는 Non-PNA Ct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Changing non-PNA Ct value by 10% neutral formalin fixation time
Variable | Non-PNA Ct value | |
---|---|---|
N | Mean±SD | |
Total | 1,772 | 26.70±2.32 |
Formalin fixation time (hr) | ||
<24 | 1,505 | 26.61±2.34 |
24∼48 | 132 | 26.88±2.36 |
48∼72 | 42 | 27.35±1.14 |
72∼96 | 84 | 27.59±1.99 |
>96 | 9 | 28.80±2.53 |
<0.001 | ||
1,045 | 26.48±2.30 | |
Formalin fixation time (hr) | ||
<24 | 1,044 | 26.48±2.30 |
24∼48 | 0 | - |
48∼72 | 0 | - |
72∼96 | 1 | 25.91± |
>96 | 0 | - |
0.806 | ||
304 | 26.82±2.63 | |
Formalin fixation time (hr) | ||
<24 | 234 | 26.69±2.58 |
24∼48 | 34 | 26.47±2.81 |
48∼72 | 10 | 27.59±1.26 |
72∼96 | 21 | 28.12±2.92 |
>96 | 5 | 28.41±2.84 |
0.008 | ||
423 | 27.18±2.05 | |
Formalin fixation time (hr) | ||
<24 | 227 | 27.13±2.19 |
24∼48 | 98 | 27.02±2.18 |
48∼72 | 32 | 27.27±1.11 |
72∼96 | 62 | 27.44±1.56 |
>96 | 4 | 29.29±2.38 |
0.129 |
이 Non-PNA Ct값이 검사 Kit 지침서상 30.0 이상으로 검출되면 증폭효율이 떨어져 검사결과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샘플의 순도에 따라 DNA양을 늘려 재검사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대장암 검체에 대한
반면 대부분 24시간 이내에 10% 중성 포르말린 고정이 된 갑상샘 조직병리 검체에 대한
전체 검체 중 재검 유무에 따라 Non-PNA Ct값을 비교하면 재검을 하지 않은 검사 1,723건에서 평균 26.68의 Ct값이 나온 반면 재검한 검사 49건에서 27.50으로 평균 Non-PNA Ct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verage comparison of non-PNA Ct value and formalin fixation time with or without retest
Variable | Test | Retest | |
---|---|---|---|
Total | |||
N | 1,723 | 49 | |
Non-PNA Ct | 26.68±2.28 | 27.51±3.52 | 0.110 |
Formalin fixation time (hr) | 1.28±0.77 | 1.39±0.86 | 0.342 |
N | 1,032 | 13 | |
Non-PNA Ct | 26.50±2.3 | 24.98±2.143 | 0.018 |
Formalin fixation time (hr) | 1.00±0.09 | 1±0 | 0.318 |
N | 277 | 27 | |
Non-PNA Ct | 26.73±2.56 | 27.75±3.16 | 0.054 |
Formalin fixation time (hr) | 1.45±0.96 | 1.48±1.01 | 0.862 |
N | 414 | 9 | |
Non-PNA Ct | 27.12±1.94 | 30.42±3.87 | 0.033 |
Formalin fixation time (hr) | 1.87±1.13 | 1.67±0.87 | 0.602 |
전체 검사 중 검체의 채취 방법 구분에 따라 침생검, 수술조직, 세포 검체로 분류하면, Non-PNA Ct값 평균치가 침생검 검체 242건 26.79, 수술조직 검체가 981건 26.39으로 비슷하였으나, 세침흡인 세포 검체 549건은 27.22로 Non-PNA Ct값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omparison non-PNA Ct value by specimen type
Specimen type | Biopsy | Resection | Cytology | |
---|---|---|---|---|
Total N | 242 | 981 | 549 | |
Non-PNA Ct | 26.79±2.37 | 26.39±2.16 | 27.22±2.49 | <0.001 |
0 | 508 | 537 | ||
Non-PNA Ct | - | 25.61±1.76 | 27.29±2.45 | <0.001 |
162 | 130 | 12 | ||
Non-PNA Ct | 26.97±2.69 | 26.93±2.45 | 23.72±1.6 | 0.021 |
80 | 343 | 0 | ||
Non-PNA Ct | 26.45±1.46 | 27.35±2.14 | - | <0.001 |
Comparison non-PNA Ct value by pathological diagnosis
N | Non-PNA Ct | ||
---|---|---|---|
1,045 | <0.001 | ||
- Scanty | 66 | 27.67±2.76 | |
- Benign | 254 | 27.47±2.45 | |
- AUS, FLUS | 113 | 27.13±2.34 | |
- Papillary carcinoma | 603 | 25.78±1.84 | |
- Other malignancy | 9 | 28.41±4.45 | |
304 | 0.387 | ||
- Lung carcinoma | 227 | 26.93±2.47 | |
- Metastatic carcinoma | 73 | 26.45±2.77 | |
- Others (negative) | 4 | 27.92±6.94 | |
423 | 0.410 | ||
- Adenocarcinoma | 412 | 27.19±2.06 | |
- Non-adenocarcinoma | 11 | 26.68±1.53 |
Abbreviations: AUS,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FLUS, follicular lesion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병리과에서 분자병리 검사에 대해 적절한 질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조직 및 세포 검체의 보관과 처리 과정 중 어떤 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분자병리검사를 위해 검체에 대한 질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The author would like to thank the members of the Department of Pathology, Kangbuk Samsung Hospital for publishing this paper, especially Seoung-Wan Chae, professor of pathology department for valuable discussion and correction, and Mi-yeon Lee, senior specialist of the Medical Statistics Division, Kangbuk Samsung Hospital for statistical analysis.
None
Yun HG, M.T.; Kim BR, M.T.; Lee JM, M.T.; Song EH, M.T.; Kim DH, M.D./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