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흡기 검체에서 분리될 수 있는 Mycobacteria는 결핵균군(
우리나라는 2011년도부터 결핵 관리 정책이 강화되어 2016년도에 이르기까지 결핵 발병률이 매년 5.2%씩 감소하여 결핵에 의한 사망 또한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0]. 하지만 최근 NTM의 검출 증가로 인해 전체 항산균 검출은 감소하지 않고 있어서 NT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산업화된 국가들에서 결핵 유병률 감소와 함께 NTM 폐질환의 증가로 폐결핵보다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10], 국내에서도 최근 임상검체에서 NTM이 분리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11] NTM 폐질환으로 진단 및 치료받는 환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13].
NTM 검출 증가 원인으로 고령으로 인한 면역 약화 환자의 증가와 임상의의 인식 변화로 인한 검사 증가, 그리고 검사 방법의 발전을 들 수 있다[14]. 하지만 최근의 보고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몇몇 지역을 제외하면 NTM의 분리 빈도 및 유병률 양상을 확인하기 힘들다. 특히 검사실에서 항산균 검사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는 항산균 배양 검사 오염률을 지속적으로 조사하며 검사결과를 감시하고 있지만 최근 NTM 검출이 증가하면서 전체 양성률이 다시 증가하고 있어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NTM 검출 증가만큼 실제 NTM 폐질환으로 진단되고 있는지 검사결과에 대한 확인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2차 종합병원에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임상 검체의 항산균 배양검사에서 NTM 검출 증가 양상을 조사하고 다른 지역의 연구 결과와 비교를 통해 지역별 차이 유무를 확인하고, 호흡기 검체에서 NTM 양성 환자가NTM 폐질환으로 진단되는 빈도를 조사하여 유병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NTM 폐질환의 연령별 분포와 성별 간 유병률 차이를 확인하고 NTM 양성 환자의 결핵 기저 질환 유무를 확인해 NTM 감염과 폐결핵 감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동안 광주 소재 627병상 2차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의뢰된 항산균 배양 검사 137,421예를 액체 배양과 고체 배양을 동시에 시행하여 연도별 양성률을 조사하고 양성 검체 중에서 MTBC 12,940건과 NTM 12,102건을 분석하였다. 호흡기 검체 132,359예 중 NTM 양성 환자 6,808명의 의무기록을 통해 NTM 폐질환 진단 여부 및 진단 시 연령, 성별, 폐결핵과 중복 감염 및 과거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기독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실시하였다(KCHIRB-RE-2020-010).
전처리 시약은 6.0% NaOH (Ducksan, Ansan, Korea)와2.9% sodium citrate tribasic dehydrate (Ducksan)용액을 만들어 121°C, 15 lb psi에서 15분 고압 멸균 후 사용 전 동량을 섞어 NaOH 농도를 3%로 맞춘 후 NALC (Sigma-Aldrich, Darmstadt, Germany)를 0.5% 농도가 되도록 잘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사용했다. Phosphate buffered solution (PBS, pH 6.8)은 4.74 g sod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 (Na2HPO4) (Ducksan)과 4.54 g potassium phosphate (KH2PO4) (Ducksan)을 DW 1 L에 녹인 후 고압 멸균하여 사용했다.
전처리 과정은 객담을 포함한 호흡기 검체가 들어있는 50 mL screw cap centrifuge tube에 검체의 2∼3배 가량의 3% NALC-NaOH를 처리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3∼ 4회 충분히 진탕하고 이 때 20분을 넘지 않도록 했다. 객담 소화 후 세척 및 중화를 위해 50 mL까지 PBS 또는 DW를 혼합한 후 Continent-512R (Hanil, Korea)를 이용해 4°C, 3,6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 액을 제거 후 5 mL의 PBS 혹은 DW로 침전물을 부유하여 배양에 사용하였다.
전처리 과정이 끝난 후 PBS나 DW로 부유한 침전 검체는 상피세포 등 찌꺼기가 가라앉도록 5분간 세워둔 후 100 μL를 고체 배지 2% Ogawa medium (Union Lab, Seoul, Korea)에 접종하여 배지 표면의 습기가 마르도록 37°C 배양기에 하루 동안 뉘어 두었다가 세워서 8주간 배양하여 성장 유무를 확인하였다. 액체 배양은 검사 전 MGIT에 항산균을 잘 배양하기 위한 growth supplement (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 USA) 와 PANTA (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 USA)를 잘 섞어 800 μL씩 분주한 후 검체 0.5 mL을 접종하였다. MGIT (Mycobacteria Growth Indicator Tube)은 BACTEC MGIT 960 system (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Y, USA)에 장착하여 세균의 성장으로 산소를 소비함에 따라 활성되는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균의 배양 유무를 측정하였고 최장 6주간 배양하였다.
BACTEC MGIT 960 system에서 양성 신호를 보내는 MGIT를 잘 혼합한 후 1 mL을 채취하여 원심 침전 후 슬라이드를 제작해 형광 염색(auramine-rhodamine)을 통해 항산균 여부를 확인한 후 PCR 검사하였다.
배양액과 집락이 항산균 염색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되면 DNA를 추출해 검사 키트 AdvanSure TB/NTM real time PCR Kit (LG Chem, Cheongju-si, Korea)를 이용하여 SLAN-96P Real-Time PCR System (LG Chem, Seoul, Korea)에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PCR을 시행하여 MTBC와 NTM을 분리하였다.
NTM 양성 환자가 NTM 폐질환으로 진단받은 경우를 1년 단위로 조사하였다. 이 환자들 중 현재 폐결핵 환자와 과거 폐결핵으로 치료받았던 환자를 조사하여 NTM 감염과 폐결핵 감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MedCalc 통계프로그램(version 19.5.3, Belgium)을 이용하여 연도별 NTM 양성 환자의 NTM 폐질환 진단 빈도와 남, 녀 성별 차이, NTM 양성 환자의 기저 질환인 폐결핵 감염 또는 과거 폐결핵 유병률 변화를 카이 제곱 검정을 실시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010년 항산균배양 양성률은 21.9% (1,624/7,403), 2013년 21.3% (3,359/15,786)에서 2015년 17.1% (2,923/17,121), 2017년 13.0% (1,831/14,097)까지 감소하였으나, 2018년 15.0% (2,199/14,678), 2019년 17.4% (1,937/11,161)로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Table 1, Figure 1A).
Number of
Years | No. of specimen | No. of positive (%) | No. (%) of PCR results from | |
---|---|---|---|---|
MTBC | NTM | |||
2010 | 7,403 | 1,624 (21.9) | 1,007 (62.0) | 617 (38.0) |
2011 | 11,677 | 2,547 (21.8) | 1,617 (63.5) | 930 (36.5) |
2012 | 14,707 | 3,512 (23.9) | 2,484 (70.7) | 1,028 (29.3) |
2013 | 15,786 | 3,359 (21.3) | 1,896 (56.4) | 1,463 (43.6) |
2014 | 15,139 | 2,907 (19.2) | 1,470 (50.6) | 1,437 (49.4) |
2015 | 17,121 | 2,923 (17.1) | 1,561 (53.4) | 1,362 (46.6) |
2016 | 15,652 | 2,203 (14.1) | 935 (42.4) | 1,268 (57.6) |
2017 | 14,097 | 1,831 (13.0) | 633 (34.6) | 1,198 (65.4) |
2018 | 14,678 | 2,199 (15.0) | 803 (36.5) | 1,396 (63.5) |
2019 | 11,161 | 1,937 (17.4) | 534 (27.6) | 1,403 (72.4) |
Total | 137,421 | 25,042 (18.2) | 12,940 (51.7) | 12,102 (48.3) |
Abbreviations: MTBC,
전체 양성 중 MTBC의 분리율은 2010년 62.0% (1,007/1,624)에서 2016년에는 42.4% (935/2,203)로 감소한 반면, NTM의 분리율은 2010년 38.0% (617/1,624)에서 2016년에는 57.6% (1,268/2,203)로 증가하였고, 2019년은 72.4% (1,403/1,937)로 증가되었는데, NTM 검출 증가는 감소세를 보이던 항산균 검출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Table 1, Figure 1B).
호흡기검체에서 NTM 양성 환자가 NTM 폐질환으로 진단된 빈도는 27.1% (6,808/12,020)로 2010년 27.3% (105/616)에서 2018년 28.1% (214/761), 2019년 23.5% (174/740)로 유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Prevalence statistic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positive patients from respiratory specimen
Years | No. of respiratory specimen | No. of positive | No. of patient | No. of patients (%) | ||
---|---|---|---|---|---|---|
No. of NTM disease | No. of pulmonary tuberculosis | No. of old pulmonary tuberculosis | ||||
2010 | 7,226 | 616 | 385 | 105 (27.3) | 173 (44.9) | 61 (15.8) |
2011 | 11,397 | 928 | 542 | 145 (26.8) | 198 (36.5) | 73 (13.5) |
2012 | 14,298 | 1,020 | 615 | 186 (30.2) | 246 (40.0) | 93 (15.1) |
2013 | 15,036 | 1,449 | 830 | 210 (25.3) | 297 (35.8) | 105 (12.7) |
2014 | 14,389 | 1,428 | 799 | 206 (25.8) | 283 (35.4) | 89 (11.1) |
2015 | 16,651 | 1,352 | 752 | 209 (27.8) | 260 (34.6) | 72 (9.6) |
2016 | 15,023 | 1,260 | 699 | 186 (26.6) | 200 (28.6) | 88 (12.6) |
2017 | 13,597 | 1,190 | 685 | 212 (30.9) | 197 (28.8) | 108 (15.8) |
2018 | 14,021 | 1,387 | 761 | 214 (28.1) | 189 (24.8) | 92 (12.1) |
2019 | 10,721 | 1,390 | 740 | 174 (23.5) | 173 (23.4) | 79 (10.7) |
Total | 132,359 | 12,020 | 6,808 | 1,847 (27.1) | 2,216 (32.6) | 860 (12.6) |
Abbreviations: See Table 1.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lung disease from 2010 to 2019
Years | Sex | No. of patients (%) | Sub total | Total | |||||||
---|---|---|---|---|---|---|---|---|---|---|---|
<10 | 10∼19 | 20∼29 | 30∼39 | 40∼49 | 50∼59 | 60∼69 | >70 | ||||
2010 | M | 0 | 0 (0.0) | 0 (0.0) | 4 (8.5) | 2 (4.3) | 10 (21.3) | 16 (34.0) | 15 (31.9) | 47 (44.8) | 105 |
F | 0 | 0 (0.0) | 0 (0.0) | 2 (3.4) | 11 (19.0) | 12 (20.7) | 19 (32.8) | 14 (24.1) | 58 (55.2) | ||
2011 | M | 0 | 0 (0.0) | 1 (1.5) | 2 (3.0) | 3 (4.5) | 12 (17.9) | 18 (26.9) | 31 (46.3) | 67 (46.2) | 145 |
F | 0 | 0 (0.0) | 1 (1.3) | 3 (3.8) | 12 (15.4) | 22 (28.2) | 23 (29.5) | 17 (21.8) | 78 (53.8) | ||
2012 | M | 0 | 0 (0.0) | 0 (0.0) | 1 (1.1) | 4 (4.6) | 21 (24.1) | 18 (20.7) | 43 (49.4) | 87 (46.8) | 186 |
F | 0 | 0 (0.0) | 2 (2.0) | 3 (3.0) | 14 (14.1) | 24 (24.2) | 25 (25.3) | 31 (31.3) | 99 (53.2) | ||
2013 | M | 0 | 1 (1.1) | 1 (1.1) | 4 (4.5) | 5 (5.6) | 10 (11.2) | 23 (25.8) | 45 (50.6) | 89 (42.4) | 210 |
F | 0 | 0 (0.0) | 1 (0.8) | 4 (3.3) | 12 (9.9) | 31 (25.6) | 37 (30.6) | 36 (29.8) | 121 (57.6) | ||
2014 | M | 0 | 0 (0.0) | 1 (1.0) | 4 (4.1) | 3 (3.1) | 13 (13.4) | 33 (34.0) | 43 (44.3) | 97 (47.1) | 206 |
F | 0 | 0 (0.0) | 0 (0.0) | 1 (0.9) | 13 (11.9) | 25 (22.9) | 36 (33.0) | 34 (31.2) | 109 (52.9) | ||
2015 | M | 0 | 0 (0.0) | 0 (0.0) | 2 (2.4) | 4 (4.8) | 20 (24.1) | 25 (30.1) | 32 (38.6) | 83 (39.7) | 209 |
F | 0 | 0 (0.0) | 0 (0.0) | 2 (1.6) | 12 (9.5) | 29 (23.0) | 40 (31.7) | 43 (34.1) | 126 (60.3) | ||
2016 | M | 0 | 0 (0.0) | 0 (0.0) | 0 (0.0) | 5 (7.1) | 10 (14.3) | 25 (35.7) | 30 (42.9) | 70 (37.6) | 186 |
F | 0 | 0 (0.0) | 0 (0.0) | 3 (2.6) | 10 (8.6) | 24 (20.7) | 45 (38.8) | 34 (29.3) | 116 (62.4) | ||
2017 | M | 0 | 0 (0.0) | 0 (0.0) | 0 (0.0) | 2 (2.7) | 11 (14.9) | 21 (28.4) | 40 (54.1) | 74 (34.9) | 212 |
F | 0 | 0 (0.0) | 0 (0.0) | 2 (1.4) | 12 (8.7) | 32 (23.2) | 44 (31.9) | 48 (34.8) | 138 (65.1) | ||
2018 | M | 0 | 0 (0.0) | 0 (0.0) | 0 (0.0) | 1 (1.2) | 10 (12.3) | 26 (32.1) | 44 (54.3) | 81 (37.9) | 214 |
F | 0 | 0 (0.0) | 0 (0.0) | 1 (0.8) | 9 (6.8) | 25 (18.8) | 43 (32.3) | 55 (41.4) | 133 (62.1) | ||
2019 | M | 0 | 0 (0.0) | 1 (1.5) | 0 (0.0) | 2 (3.0) | 10 (14.9) | 23 (34.3) | 31 (46.3) | 67 (38.5) | 174 |
F | 0 | 1 (0.9) | 0 (0.0) | 2 (1.9) | 7 (6.5) | 28 (26.2) | 30 (28.0) | 39 (36.4) | 107 (61.5) | ||
Total | M | 0 | 1 (0.1) | 4 (0.5) | 14 (2.2) | 31 (4.2) | 127 (16.7) | 228 (29.9) | 354 (46.5) | 762 (41.3) | 1,847 |
F | 0 | 1 (0.1) | 4 (0.1) | 23 (2.1) | 112 (10.3) | 252 (23.3) | 342 (31.5) | 351 (32.4) | 1,085 (58.7) |
Abbreviations: M, men; F, female.
NTM 양성 환자 중 현재 폐결핵유병률은 평균 32.6% (2,216/6,808)였으며 이전에 폐결핵으로 진단받았거나 치료받은 경우의 12.6% (860/6,808)을 포함하면 NTM 양성 환자 평균 45.2% (3,076/6,808)가 폐결핵 감염과 유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NTM 양성 환자 중 과거 폐결핵 감염률은 2010년 15.8% (61/385)에서 2016년 12.6% (88/699), 2019년 10.7% (79/740)로 유의한 감소(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2차 의료기관에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항산균 배양 양성률과 MTBC와 NTM의 분리율을 확인하였는데 2010년 2월부터 MGIT 액체 배양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이전의 검사결과는 통계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배양양성검체의 PCR 검사에서 MTBC와 NTM이 동시에 검출된 경우는 10년 동안 464건으로 전체 양성의 1.8%에 해당되나 반복되는 검사에서 대부분 한가지 균이 검출되어 양성 환자수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통계분석에서 제외되었음을 밝힌다. 2010년 항산균 배양 양성률은 21.9%에서 2014년 19.2%, 2017년 13.0%로 감소하는 듯 하였으나 2019년 17.4%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검사 건수에 비해 NTM 검출 건수가 증가하여 그 상승폭이 반영된 결과이며, 최근에 보고된 서울과 대구지역의 NTM 분리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15, 16].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서울지역 3차 의료기관에서 실시한 호흡기감염 의심 검체 분석결과에서 2001년에 43%였던 NTM의 비율이 2011년에는 70%로 역전현상이 나타났는데[17], 이러한 MTBC와 NTM의 분리 비 역전 현상은 이번 연구에서는 2016년에 확인되었다. 경남 울산의 3차 의료기관의 보고를 보면 2011년 NTM 비율이 25%였으며 2013년에 38%가 되어 MTBC와 NTM의 분리 비율의 역전은 확인되지 않았으나[16], 대구지역의 3차 의료기관에서도 2012년과 2013년 2년 동안NTM 비율이 44.8%로 보고하였다[18].
NTM 폐질환의 진단은 현재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와 미국감염학회(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의 진단 기준에 따라 임상적, 방사선학적, 미생물학적 결과에 의해 진단하게 된다[2]. 그러므로 호흡기 검체에서 NTM이 분리되면 오염균 또는 집락균과 폐질환의 병원균과 구별하기 위한 NTM 세부 균 종의 동정이 필요하여 추적 관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핵에 비해 훨씬 진단이 까다롭고 유병률이 낮게 보고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19]. NTM 분리 환자 중 NTM 폐질환의 진단은 홍콩,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약 10%∼ 20%로 보고되었으며[20, 21], 우리나라의 경우 2006년도에 17%로 보고되었지만[11], 3차 병원의 경우 30%∼45%가량의 높은 비율을 보이기도 하였다[22-24].
본 연구에서 2010년에 비해 2019년에는 NTM 분리 건수와 NTM 양성환자가 두 배 정도 증가하였고 NTM 양성 환자가 NTM 폐질환으로 진단받은 빈도는 27.1%로 확인되었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0 NTM 양성환자의 NTM 폐질환 유병률은 27.3% (105/385)였고 NTM 검출이 MTBC를 역전한 2016년은 26.6% (186/699), 2019년은 23.5% (174/740)으로 NTM 양성 환자가 증가한 만큼 NTM 폐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도 증가하여 NTM 양성 환자의 폐질환 진단 빈도는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서 최근 10년간 MTBC와 NTM 검출 경향과 2차 종합병원에서의 NTM 양성 환자의 NTM 폐질환 유병률에 관한 최신 연구 보고 자료이다. Table 3에서 NTM 폐질환이 60대 이상이 69.0% (1,275/1,847)로 고령에서 높은 비율을 보여 고령화 사회의 우리나라는 앞으로 더 높은 유병률이 예상되며 여자가 58.7% (1,085/1,847)로 남자 41.3% (762/1,847)보다 더 많았으며 여자는 40대가 10년 평균 10.3% (112/1,085)로 남자의 4.2% (31/762)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최근 호흡기 검체에서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TBC) 검출은 감소하고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광주 2차 병원에 의뢰된 호흡기검체 132,359예를 대상으로 NTM 검출 증가 대비 NTM 폐질환 환자의 증가와 연령 및 성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NTM양성환자의 폐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균배양 양성률은 2010년 21.9% (1,624/7,403), 2019년 17.4% (1,937/11,161)였다. NTM 분리 비율은 2010년 38.0% (617/1,624)에서 2019년에 72.4% (1,403/1,937)로 증가하였다. NTM 양성환자의 NTM 폐질환 진단률은 평균 27.1%였다. 이 중 현재 폐결핵에 감염된 사례는 2010년 44.4%에서 2019년 23.5%로 감소하고 과거 진단 또는 치료 사례도 15.6%에서 10.6%로 감소하였다. 전체 NTM 폐질환 중 69.0%가 60대 이상이었으며 남자보다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향후 고령화와 결핵 관리 정책에 따라 NTM 검출은 증가하는 반면 MTBC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험실에서는 이 현상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지속적으로 검사 결과를 감시해야 할 것이다.
None
None
Baek HG, M.T.